라틴명 |
Zingiberis Rhizoma Recens |
약재의 효능 |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선결(宣結)
(결체(結滯)된 것을 편다는 것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회양(回陽)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키는 효능임)
|
|
통맥(通脈)
(혈맥을 통하게 하는 방법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체(去滯)
(막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이폐(利肺)
(폐(肺)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사독(解蛇毒)
(사독(蛇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통절맥(通絶脈)
(맥기가 끊어진 것을 원활히 소통시키는 효능임)
|
|
회원양(回元陽)
(으뜸이 되는 양기(陽氣) 즉, 신양(腎陽)을 다시 회복시켜 주는 효능임)
|
|
통심양(通心陽)
(심(心)의 양기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폐(肺)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신선한 뿌리줄기 |
독성 |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2). Persons with gallstones should consult a practitioner prior to use 2).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2)Blumenthal, M., ed; S. Klein, trans., Therapeutic monographs on medicinal plants for human use of the commission E Special expert committee, Fedral Health Agency, Germany, Austin;American Botanical Council, 1993.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복령환(加減茯苓丸) /
비통(臂痛)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1] /
태양중풍(太陽中風)
, 풍중부(風中腑)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
강갈산(薑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
|
강다탕(薑茶湯) /
역리(疫痢)
|
|
강밀탕(薑蜜湯) /
요혈(尿血)
|
|
강염탕(薑鹽湯) /
건곽란(乾霍亂)
|
|
개금탕(開噤湯) /
금구리(噤口痢)
|
|
거령환(去鈴丸) /
퇴산(㿉疝)
|
|
경지고(瓊脂膏) /
조증(燥證)
|
|
계지용골모려탕(桂枝龍骨牡蠣湯) /
실정(失精)
, 탈정(脫精)
, 정활(精滑)
|
|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
|
교가산(交加散)[2] /
산후풍치(産後風痓)
|
|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귤감산(橘甘散) /
담수(痰嗽)
|
|
귤강환(橘薑丸) /
기수(氣嗽)
|
|
금화선방(噙化仙方) /
해역상기(咳逆上氣)
, 폐위(肺痿)
|
|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
|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
|
노강음(露薑飮) /
담학(痰馭)
|
|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
|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
|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
|
목향산(木香散)[3] /
혈리(血痢)
, 구리(久痢)
|
|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
|
반하생강탕(半夏生薑湯) /
해역(咳逆)
|
|
반하탕(半夏湯) /
담열(膽熱)
|
|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
|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
, 상주(傷酒)
|
|
사수음(四獸飮) /
구학(久瘧)
|
|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
|
삼미삼유탕(三味蔘萸湯)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
|
생강(生薑)[10] /
해수(咳嗽)
|
|
생강(生薑)[1] /
기울(氣鬱)
|
|
생강(生薑)[3] /
냉담(冷痰)
|
|
생강(生薑)[6] /
심하급통(心下急痛)
|
|
생강(生薑)[7] /
호취(狐臭)
|
|
생강(生薑)[8] /
곽란전근(霍亂轉筋)
|
|
생강(生薑)[9] /
건구(乾嘔)
, 구토(嘔吐)
, 반위(反胃)
|
|
생강감길탕(生薑甘桔湯) /
옹저구역(癰疽嘔逆)
|
|
생강감초탕(生薑甘草湯) /
폐위(肺痿)
|
|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
오심(惡心)
, 건구(乾嘔)
|
|
생강사심탕(生薑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
|
생강즙(生薑汁)[1] /
지조파면(指爪破面)
|
|
생강즙(生薑汁)[2] /
중열(中熱)
|
|
생숙음자(生熟飮子) /
적리(積痢)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소수독음자(消水毒飮子) /
수독(水毒)
|
|
소자전(蘇子煎) /
기수(氣嗽)
|
|
승마황련환(升麻黃連丸) /
구취(口臭)
|
|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
|
쌍해음자(雙解飮子) /
장학(瘴瘧)
, 한학(寒瘧)
|
|
압자전(鴨子煎) /
자리(子痢)
|
|
양육탕(羊肉湯)[1] /
한산(寒疝)
|
|
양육탕(羊肉湯)[2] /
한산(寒疝)
|
|
어한고(禦寒膏) /
배한(背寒)
|
|
여지고(荔枝膏) /
소갈(消渴)
|
|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
|
오선고(五仙膏)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오신탕(五神湯) /
부인토혈(婦人吐血)
|
|
오통고(五通膏) /
촬구(撮口)
, 제풍(臍風)
|
|
옥액탕(玉液湯) /
미능골통(眉稜骨痛)
, 기훈(氣暈)
|
|
윤장고(潤腸膏) /
열격(噎膈)
, 반위(反胃)
|
|
윤폐고(潤肺膏)[2] /
담천(痰喘)
|
|
응통원(應痛元) /
견비통(肩臂痛)
|
|
이생고(二生膏)[1] /
근단(筋斷)
, 골절(骨折)
|
|
이신환(二神丸)[2] /
비신구허(脾腎俱虛)
, 식감(食減)
|
|
인삼호도탕(人蔘胡桃湯) /
해수(咳嗽)
, 천급(喘急)
|
|
인진귤피탕(茵蔯橘皮湯) /
음황(陰黃)
|
|
일복산(一服散) /
천행해수(天行咳嗽)
|
|
입효산(立效散)[6] /
취유(吹乳)
|
|
자영산(滋榮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정향시체산(丁香枾蒂散) /
위랭(胃冷)
|
|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
식상(食傷)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한창(寒脹)
, 중만(中滿)
|
|
철분산(鐵粉散) /
전광(癲狂)
|
|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
|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
|
청아원(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총백탕(蔥白湯)[4] /
임신상한(妊娠傷寒)
|
|
치강음(梔薑飮) /
열심통(熱心痛)
|
|
치시생강탕(梔豉生薑湯)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치포의불하일방(治胞衣不下一方)[3] /
포의불하(胞衣不下)
|
|
칠미총백산(七味蔥白散) /
식복(食復)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칠생탕(七生湯) /
토혈(吐血)
, 구혈(嘔血)
|
|
팔선고(八仙膏) /
열식(噎食)
|
|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
해금환(解噤丸) /
금구리(噤口痢)
|
|
해반하독일방(解半夏毒一方) /
반하독(半夏毒)
|
|
해초오천오천웅부자독방(解草烏川烏天雄附子毒方) /
부자독(附子毒)
, 천웅독(天雄毒)
, 천오독(川烏毒)
, 초오독(草烏毒)
|
|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
|
향강산(香薑散) /
신설(腎泄)
|
|
현상고(玄霜膏)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
노수(勞嗽)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
협골법(夾骨法) /
골절(骨折)
|
|
활룡산(活龍散) /
상한양독(傷寒陽毒)
|
|
황련음(黃連飮) /
야제(夜啼)
|
|
후박전(厚朴煎) /
변혈(便血)
, 하혈(下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