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압(白鴨) / 쇠기러기

동의보감에서 "백압(白鴨) / 쇠기러기"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백압(白鴨) / 쇠기러기
라틴명 |
Anatis Domesticae Caro |
약재의 효능 |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
|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양위(養胃)
(위(胃)가 마르고 진액(津液)이 상한 것과 위음(胃陰)이 부족하여 위부작통(胃部灼痛), 위중불서(胃中不舒), 이기(易饑), 대변조결(大便燥結)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위음(胃陰)을 청양(淸養)시키는 방법임)
|
|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이장부(利臟腑)
(장부(臟腑)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통수도(通水道)
(수액의 통로를 원활히 하여 잘 빠져나가게 하는 효능임)
|
|
해단독(解丹毒)
(지장복(地漿服), 최묘(最妙).)
|
작용부위 |
신(腎)
, 폐(肺)
|
성미 |
감함(甘鹹)
, 평(平)
|
주의사항 |
장풍하혈자(腸風下血者), 임산부는 먹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백봉고(白鳳膏) /
허로(虛勞)
, 폐위(肺痿)
, 해혈(咳血)
|
|
백압(白鴨)[2] /
두창(頭瘡)
, 소아경간(小兒驚癎)
|
|
해금은동석철독(解金銀銅錫鐵毒) /
금은동석철독(金銀銅錫鐵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