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innabaris |
약재의 효능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청간명목(淸肝明目)
(간(肝)을 식혀주며 눈을 맑게해주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제심열(除心熱)
(심(心)의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열택안면(悅澤顔面)
(얼굴의 모습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벽장(辟瘴)
(습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 즉, 장기(瘴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하사태(下死胎)
(자궁 안에서 죽은 태아를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발두장(發痘漿)
(두진(痘疹)과 진물이 체표(體表)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능임)
|
|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
|
소체(消滯)
(음식물이 체한 것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심(心)
|
성미 |
감(甘)
, 양(凉)
, 유독(有毒)
|
약재사용처방 |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가미육일산(加味六一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
감수산(甘遂散)[1] /
오간(五癎)
|
|
구풍고(驅風膏) /
급경풍(急驚風)
|
|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옹저(癰疽)
, 심옹(心癰)
, 악창(惡瘡)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
경계(驚悸)
, 조잡(嘈雜)
, 정충(怔忡)
|
|
도노원(桃奴元) /
사수(邪祟)
, 객오(客忤)
, 염몽(厭夢)
|
|
마비풍산(馬脾風散) /
마비풍(馬脾風)
|
|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
|
보명단(保命丹) /
만경풍(慢驚風)
, 급경풍(急驚風)
|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
|
삼간단(三癎丹) /
식간(食癎)
|
|
신선취보단(神仙聚寶丹)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신효산(神效散)[3] /
만경풍(慢驚風)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오수삼궤환(五獸三匱丸) /
간신구허(肝腎俱虛)
, 양각위연(兩脚痿軟)
|
|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
|
우황산(牛黃散) /
구창(口瘡)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
급경풍(急驚風)
, 만경풍(慢驚風)
|
|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소갈(消渴)
, 신소(腎消)
|
|
육혼단(育魂丹)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자하거환(紫河車丸) /
전시(傳尸)
, 노채(勞瘵)
|
|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
|
진사고(辰砂膏)[1] /
치루(痔瘻)
|
|
진사고(辰砂膏)[2] /
태경(胎驚)
|
|
진사산(辰砂散) /
전광(癲狂)
|
|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
전광(癲狂)
, 경계(驚悸)
|
|
진사오령산(辰砂五苓散) /
상한섬어(傷寒譫語)
|
|
진사원(辰砂元) /
구학(久瘧)
|
|
진사익원산(辰砂益元散) /
상한섬어(傷寒譫語)
|
|
진사환(辰砂丸) /
고독(蠱毒)
|
|
진심단(鎭心丹)[1] /
경계(驚悸)
|
|
진심단(鎭心丹)[2] /
전광(癲狂)
|
|
축보환(丑寶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취후산(吹喉散)[2] /
현옹(懸癰)
|
|
칠진산(七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파결단(破結丹) /
양독결흉(陽毒結胸)
, 음독결흉(陰毒結胸)
|
|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향령환(香靈丸) /
산후구토(産後嘔吐)
|
|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
, 중풍(中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