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水銀) / 수은

동의보감에서 "수은(水銀) / 수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수은(水銀) / 수은
라틴명 |
Hydrargyrum |
약재의 효능 |
진심(鎭心)
(심(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하사태(下死胎)
(자궁 안에서 죽은 태아를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임.)
|
|
살충소독(殺蟲消毒)
(기생충을 없애고 독을 없애는 효능임)
|
|
성선(成仙)
|
|
불로(不老)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심(心)
|
성미 |
신(辛)
, 유독(有毒)
, 한(寒)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단방기술(丹房奇術)[1] /
종창(腫脹)
|
|
마풍고(磨風膏) /
음식창(陰蝕瘡)
|
|
벽력단(霹靂丹) /
자간(子癎)
, 난산(難産)
|
|
송지첩산(松脂貼散) /
악창(惡瘡)
|
|
수은(水銀)[1]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수은(水銀)[2] /
사태불하(死胎不下)
|
|
여성산(如聖散)[3] /
개선(疥癬)
|
|
영사(靈砂) /
궐역(厥逆)
, 고냉(痼冷)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유홍단(硫汞丹) /
반위(反胃)
, 구토(嘔吐)
|
|
육진단(六珍丹) /
오간(五癎)
|
|
일소광(一掃光) /
소아두창(小兒頭瘡)
|
|
전씨오색환(錢氏五色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조약방(照藥方) /
양매창(楊梅瘡)
|
|
차비거홍방(搽鼻去紅方) /
비사(鼻齄)
|
|
치양매창취약방(治楊梅瘡吹藥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1]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2]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포담환(抱膽丸) /
전간(癲癎)
, 경계(驚悸)
|
|
해금은동석철독(解金銀銅錫鐵毒) /
금은동석철독(金銀銅錫鐵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