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Venum Granorum |
약재의 효능 | 통양(通陽) (양기(陽氣)가 한습(寒濕)이나 담(痰)이 막아 통하지 못하는 병증에 쓰는 방법임) |
복맥(復脈) (맥(脈)을 다시 회복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산한체(散寒滯) (한사(寒邪)로 체한 것을 없애는 효능임) | |
개어결(開瘀結) (어혈(瘀血)이 뭉친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소음식(消飮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조화영위(調和營衛) (풍사(風邪)를 없애고 동시에 영위실화(營衛失和)를 조정하는 치료법임.) | |
작용부위 | 위(胃) |
성미 | 신(辛) , 온(溫) |
주의사항 | 음허혈열(陰虛血熱), 양증종양(陽症腫瘍)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거삼시충일방(去三尸蟲一方) / 삼시충(三尸蟲) |
대황탕(大黃湯)[1] / 열리(熱痢) , 농혈리(膿血痢) | |
마황순주탕(麻黃醇酒湯) / 황달(黃疸) | |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 |
신국주(神麴酒)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자탕(紫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 |
정향연실환(丁香練實丸) / 가취(瘕聚) , 칠산(七疝) | |
치상기우방(治上氣又方)[2] / 상기(上氣) | |
치영류우방(治瘿瘤又方)[2] / 영류(瘿瘤) | |
태상혼원단(太上混元丹) / 음허노손(陰虛勞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