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Borneol |
약재의 효능 |
통규산울(通竅散鬱)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고 울체된 것을 흩어주는 효능임)
|
|
주찬경락(走竄經絡)
(경락(經絡)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향료(香料)
|
|
총이(聰耳)
(귀가 잘 들리지 않을때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명목거예(明目去翳)
(눈을 밝게 해주고 예막(瞖膜)을 제거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소종지통(消腫止痛)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임)
|
|
진심(鎭心)
(심(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고정(固精)
(정(精)을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효능임)
|
|
축귀매(逐鬼魅)
(귀신과 같이 사악한 기운을 내쫓는 효능임)
|
|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심(心)
, 폐(肺)
|
성미 |
신고(辛苦)
, 양(凉)
|
약재사용처방 |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실음(失音)
, 해수(咳嗽)
|
|
가미육일산(加味六一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
고반산(枯礬散)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금쇄시(金鎖匙) /
전후풍(纏喉風)
, 급후폐(急喉閉)
|
|
녹포산(綠袍散)[2] /
구창(口瘡)
|
|
마예고(磨翳膏) /
예막(翳膜)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
|
봉의산(鳳衣散) /
하감창(下疳瘡)
|
|
비전신응고(秘傳神應膏) /
치루(痔瘻)
|
|
와우산(蝸牛散)[1] /
치(痔)
|
|
용뇌고(龍腦膏)[3] /
쌍유아(雙乳蛾)
, 후비(喉痺)
, 단유아(單乳蛾)
|
|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용석산(龍石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용성단(龍星丹) /
혼모(昏冒)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우황산(牛黃散)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구창(口瘡)
|
|
웅담고(熊膽膏) /
탈항(脫肛)
, 치루(痔瘻)
|
|
웅빙고(熊氷膏) /
탈항(脫肛)
, 치루(痔瘻)
|
|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
|
전라고(田螺膏)[2] /
치루(痔瘻)
|
|
채명단(寨命丹) /
정창(釘瘡)
, 변독(便毒)
, 유옹(乳癰)
|
|
취후산(吹喉散)[2] /
현옹(懸癰)
|
|
치악창살충방(治惡瘡殺蟲方)[1] /
악창유충(惡瘡有蟲)
|
|
치천포창차약방(治天疱瘡茶藥方)[1]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치치루일방(治痔漏一方) /
치루(痔瘻)
|
|
통성오보단(通聖五寶丹) /
양매창(楊梅瘡)
, 아장선(鵝掌癬)
, 천포창(天疱瘡)
|
|
통애산(通隘散) /
실음(失音)
, 후비(喉痺)
|
|
한라산(旱螺散) /
하감창(下疳瘡)
|
|
해아산(孩兒散) /
탈항(脫肛)
|
|
활호단(活虎丹) /
전간(癲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