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지(益智) / 익지
    
 

 동의보감에서 "익지(益智) / 익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익지(益智) / 익지 열매
 
| 라틴명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  
| 약재의 효능 |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  
 | 
조기(調氣)
 |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삽정(澁精)
 (치료법의 하나. 수삽약(收澁藥)으로 몽정(夢精), 활정(滑精), 누정(漏精), 뇨정(尿精) 등의 유정(遺精)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  
 | 
익비위(益脾胃)
 (비위(脾胃)의 기운을 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이삼초(利三焦)
 (삼초(三焦)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보신허(補腎虛)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행양퇴음(行陽退陰)
 |  
 | 
온양하원(溫養下元)
 |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심(心)
 | 
| 성미 | 
신(辛)
, 온(溫)
 |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 약재사용처방 | 
연라환(連蘿丸) / 
조잡(嘈雜)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 
 | 
익지(益智) / 
구취(口臭)
 | 
 |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 
 | 
투빙단(透氷丹) / 
중풍(中風)
, 중풍열증(中風熱證)
, 탄탄(癱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