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Alpiniae Fructus |  
| 약재의 효능 |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  
 | 
조기(調氣)
 |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삽정(澁精)
 (치료법의 하나. 수삽약(收澁藥)으로 몽정(夢精), 활정(滑精), 누정(漏精), 뇨정(尿精) 등의 유정(遺精)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  
 | 
익비위(益脾胃)
 (비위(脾胃)의 기운을 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이삼초(利三焦)
 (삼초(三焦)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보신허(補腎虛)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행양퇴음(行陽退陰)
 |  
 | 
온양하원(溫養下元)
 |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 성미 | 
신(辛)
, 온(溫)
 | 
| 약전기재 | 
일본약국방
 | 
| 약재사용처방 | 
가미복령탕(加味茯苓湯) / 
담미심규(痰迷心竅)
, 건망(健忘)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매핵기(梅核氣)
, 기담(氣痰)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 
 | 
고본원(固本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 
 | 
고진단(固眞丹) / 
유정(遺精)
, 몽설(夢泄)
 | 
 |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복창(腹脹)
, 중만(中滿)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균기환(均氣丸) / 
애기(噯氣)
 | 
 | 
기제환(旣濟丸)[1] / 
소변불금(小便不禁)
, 방광허한(膀胱虛寒)
 | 
 | 
기제환(旣濟丸)[2] / 
포기불고(胞氣不固)
, 소변불금(小便不禁)
 | 
 | 
대봉수단(大鳳髓丹) / 
정기불고(精氣不固)
 | 
 |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 
 | 
대이향산(大異香散) / 
기창(氣脹)
, 곡창(穀脹)
 | 
 | 
대칠기탕(大七氣湯) / 
육취(六聚)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오적(五積)
, 심복창만(心腹脹滿)
 | 
 |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 
 |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 
 |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
, 상주(傷酒)
 | 
 |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 
 |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삼기탕(蔘芪湯)[3]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 
 |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 
 |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 
 | 
신소산(神消散) / 
산통(疝痛)
 | 
 |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 
 | 
오자원(五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 
 | 
용향원(茸香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 / 
노림(勞淋)
 | 
 | 
익지인(益智仁)[2]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장벽(腸澼)
, 하혈(下血)
 |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 
 |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
, 한창(寒脹)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축천원(縮泉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치소변백탁출수조방(治小便白濁出髓條方) / 
정활(精滑)
 | 
 |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 
경간(驚癎)
 | 
 |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 
 |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 
 |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 
 |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 
 | 
회양탕(回陽湯) / 
중한(中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