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Peucedani Radix |
약재의 효능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화담열(化痰熱)
(담(痰)으로 인한 열(熱)을 삭히는 효능임)
|
|
소숙식(消宿食)
(오랫동안 정체된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산풍사(散風邪)
|
|
통오장(通五臟)
|
|
창폐기(暢肺氣)
|
|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
|
해표산풍(解表散風)
(풍사(風邪)를 인체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해표약(解表藥)을 이용하여 풍사(風邪)를 발산시키는 치료 방법임.)
|
|
강담하기(降痰下氣)
(담을 내리고 기운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
작용부위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양(凉)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약재사용처방 |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
풍수(風嗽)
|
|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
화울(火鬱)
, 오심번열(五心煩熱)
|
|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은진(癮疹)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역(瘟疫)
, 온독발반(溫毒發斑)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
|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
|
교가산(交加散)[1] /
감모(感冒)
, 상한(傷寒)
|
|
궁소산(芎蘇散)[1] /
임신상한(妊娠傷寒)
|
|
금불초산(金沸草散) /
풍수(風嗽)
, 담연옹성(痰涎壅盛)
|
|
기각환(枳殼丸)[2] /
귀배(龜背)
|
|
단어산(團魚散) /
골증(骨蒸)
|
|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
|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
|
독활탕(獨活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
|
마황행인음(麻黃杏仁飮) /
상한표증(傷寒表證)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롱(耳聾)
, 이명(耳鳴)
|
|
목향산(木香散)[5] /
두창설사(痘瘡泄瀉)
|
|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
주달(酒疸)
|
|
백합산(百合散) /
자수(子嗽)
|
|
별갑산(鱉甲散) /
상한괴증(傷寒壞症)
|
|
보허음(補虛飮) /
담연옹성(痰涎壅盛)
, 기훈(氣暈)
|
|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사위탕(瀉胃湯)[1] /
순창(脣瘡)
, 순종(脣腫)
|
|
삼소음(蔘蘇飮) /
상한해수(傷寒咳嗽)
|
|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
|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상기천급(上氣喘急)
|
|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담천(痰喘)
|
|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
, 후류(喉瘤)
|
|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
|
시전매련산(柴前梅連散) /
골증(骨蒸)
|
|
시제백출산(是齊白朮散)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
|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오음탕(五飮湯) /
유음(留飮)
, 벽음(癖飮)
, 일음(溢飮)
|
|
이장음(梨漿飮) /
조열(潮熱)
|
|
익기양신탕(益氣養神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
|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
|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전호(前胡) /
흉비(胸痞)
, 열담(熱痰)
|
|
전호기각탕(前胡枳殼湯) /
두창담천(痘瘡痰喘)
|
|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 /
기담(氣痰)
|
|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
|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
|
죽여탕(竹茹湯) /
오조(惡阻)
|
|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
|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
|
창이산(蒼耳散)[3] /
아장선(鵝掌癬)
|
|
천마반하탕(天麻半夏湯) /
담훈(痰暈)
|
|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화울수(火鬱嗽)
|
|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
|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
|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