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Serpentis Periostracum |
약재의 효능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퇴예(退翳) (예막(翳膜)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벽악(辟惡)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악기(惡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요종독(療腫毒) (종독(腫毒)을 치료한다는 용어임.) |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평(平) , 함감(鹹甘)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강국산(羌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수명(羞明) |
고호산(苦瓠散) / 침음창(浸淫瘡) | |
누로산(漏蘆散)[1] / 유옹(乳癰) | |
단간단(斷癎丹) / 전간(癲癎) | |
사태(蛇蛻)[1] / 장예(障翳) | |
사태(蛇蛻)[2] / 긴순(緊脣) , 중악(重顎) | |
사태(蛇蛻)[3] / 전후풍(纏喉風) , 후폐(喉閉) | |
사태(蛇蛻)[4] / 역양풍(癧瘍風) , 풍소양(風瘙痒) | |
사태(蛇蛻)[5] / 학질(瘧疾) | |
사태(蛇蛻)[6] / 역산(逆産) | |
사태(蛇蛻)[7] / 경간(驚癎) , 제창(諸瘡) | |
사태피(蛇蛻皮) / 악창(惡瘡) | |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예막(翳膜) | |
용담음자(龍膽飮子) / 감안(疳眼) | |
용태산(龍蛻散) / 난산(難産) | |
우선단(遇仙丹)[2] / 역산(逆産) , 사태불하(死胎不下) , 횡산(橫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