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초(焰硝) / 질산칼륨

동의보감에서 "염초(焰硝) / 질산칼륨"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염초(焰硝) / 질산칼륨
라틴명 |
Niterum |
약재의 효능 |
연견(軟堅)
(대변(大便)이나 종괴(腫塊) 등의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는 효능임)
|
|
산적(散積)
(적체된 것을 해소하는 효능임)
|
|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사하(瀉下)
(대변을 순조롭게 하고 실열(實熱)을 없애며 수음(水飮)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
|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심(心)
|
성미 |
고함(苦鹹)
, 온(溫)
, 유독(有毒)
|
주의사항 |
위허자(胃虛者)와 임산부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
약재사용처방 |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
|
곤담환(滾痰丸) /
열담(熱痰)
, 습담(濕痰)
|
|
금쇄시(金鎖匙) /
전후풍(纏喉風)
, 급후폐(急喉閉)
|
|
독호산(獨虎散) /
탈항(脫肛)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벽설(碧雪) /
구설생창(口舌生瘡)
, 시종(腮腫)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
|
빙황산(氷黃散) /
소아단독(小兒丹毒)
|
|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20] /
태독(胎毒)
|
|
염초(焰硝)[1] /
관격(關格)
|
|
염초(焰硝)[2] /
소아단독(小兒丹毒)
|
|
옥약시(玉鑰匙) /
급후비(急喉痺)
|
|
용뇌고(龍腦膏)[3] /
단유아(單乳蛾)
, 후비(喉痺)
, 쌍유아(雙乳蛾)
|
|
우황산(牛黃散) /
구창(口瘡)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
치통(齒痛)
|
|
유황산(硫黃散)[2] /
시궐(尸厥)
|
|
이금고(泥金膏) /
무명종독(無名腫毒)
, 단독(丹毒)
|
|
주사고(朱砂膏) /
경계(驚悸)
|
|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
담괴(痰塊)
|
|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경광(驚狂)
, 전간(癲癎)
|
|
취누농법(取漏膿法) /
치루(痔瘻)
|
|
취후산(吹喉散)[2] /
현옹(懸癰)
|
|
탈명산(奪命散)[6] /
급경풍(急驚風)
, 만경풍(慢驚風)
|
|
회춘산(回春散) /
음랭(陰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