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Indigo Pulverata Levis |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 성미 | 
한(寒)
, 함(鹹)
 |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쪽잎을 발효시켜 얻은 가루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 
 | 
가감진주분환(加減珍珠粉丸) / 
적백탁(赤白濁)
, 백음(白淫)
 | 
 | 
가려륵환(訶黎勒丸)[2] / 
울수(鬱嗽)
 | 
 | 
거연방(去涎方) / 
후비(喉痺)
 | 
 | 
계심산(鷄心散) / 
신장풍창(腎臟風瘡)
 | 
 | 
금백저피환(芩柏樗皮丸) / 
대하(帶下)
 | 
 | 
녹포산(綠袍散)[1] / 
치뉵(齒衄)
 | 
 | 
녹포산(綠袍散)[2] / 
구창(口瘡)
 | 
 |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협통(脇痛)
, 간실열(肝實熱)
 | 
 | 
대나조환(大蘿皂丸) / 
기천(氣喘)
, 담천(痰喘)
 | 
 | 
대청고(大靑膏) / 
급경풍(急驚風)
 | 
 | 
목향환(木香丸) / 
냉감(冷疳)
 | 
 | 
벽금산(碧金散) / 
촌백충병(寸白蟲病)
 | 
 | 
벽설(碧雪) / 
구설생창(口舌生瘡)
, 시종(腮腫)
 | 
 | 
부연산(赴宴散)[2] / 
구창(口瘡)
 | 
 | 
불수산(佛手散)[1] / 
전후풍(纏喉風)
 | 
 | 
불수산(佛手散)[2] / 
후옹(喉癰)
, 인후종통(咽喉腫痛)
 | 
 | 
불와산(不臥散)[1] / 
두통(頭痛)
 | 
 | 
비급단(備急丹) / 
단유아(單乳蛾)
, 인후폐쇄(咽喉閉鎖)
, 쌍유아(雙乳蛾)
 | 
 | 
빙상산(氷霜散) / 
탕화상(燙火傷)
 | 
 | 
사향산(麝香散)[2] / 
감닉(疳䘌)
 | 
 |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성반합분환(星半蛤粉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성병자(聖餠子) / 
객혈(喀血)
 | 
 |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반진(斑疹)
, 양독발반(陽毒發斑)
 | 
 |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 
학질(瘧疾)
 | 
 |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 / 
감질(疳疾)
 | 
 | 
양경환(凉驚丸) / 
급경풍(急驚風)
 | 
 |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 
 |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 열감(熱疳)
 | 
 | 
옥섬산(玉蟾散) / 
감창(疳瘡)
 | 
 |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 
급후비(急喉痺)
 | 
 |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 
 | 
용담환(龍膽丸) / 
뇌감(腦疳)
 | 
 | 
용성단(龍星丹) / 
혼모(昏冒)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우황산(牛黃散)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구창(口瘡)
 | 
 | 
윤폐환(潤肺丸)[2] / 
노수(勞嗽)
, 건수(乾嗽)
 | 
 | 
이경환(利驚丸) / 
급경풍(急驚風)
 | 
 | 
이련환(二連丸) / 
무고감(無辜疳)
 | 
 | 
인삼청진환(人蔘淸鎭丸) / 
화수(火嗽)
 | 
 | 
입효산(立效散)[10] / 
주마아감(走馬牙疳)
 | 
 | 
저백환(樗柏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적유산(滴油散) / 
담수(痰嗽)
 | 
 |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울담(鬱痰)
, 노담(老痰)
 | 
 |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 
심화몽설(心火夢泄)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청금산(靑金散) / 
백구창(白口瘡)
 | 
 | 
청대산(靑黛散)[1] / 
중설(重舌)
 | 
 | 
청대산(靑黛散)[2] / 
풍담옹색(風痰壅塞)
 | 
 | 
청화환(淸化丸) / 
울수(鬱嗽)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 
 | 
취후산(吹喉散)[1]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 
취후산(吹喉散)[3] / 
후폐(喉閉)
 | 
 | 
치아감약(治牙疳藥) / 
아감(牙疳)
 | 
 | 
치투정창일방(治妬情瘡一方) / 
음식창(陰蝕瘡)
, 하감창(下疳瘡)
 | 
 | 
통애산(通隘散) / 
후비(喉痺)
, 실음(失音)
 | 
 |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6] / 
약독(藥毒)
 | 
 |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 
 | 
함화단(含化丹) / 
이균(耳菌)
 | 
 | 
해독환(解毒丸)[2] / 
백물독(百物毒)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3] / 
백물독(百物毒)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4] / 
비상중독(砒霜中毒)
 | 
 | 
해청환(海靑丸)[1] / 
담설(痰泄)
 | 
 | 
해청환(海靑丸)[2] / 
화수(火嗽)
 | 
 | 
향부과루청대환(香附瓜蔞靑黛丸) / 
주담(酒痰)
 | 
 | 
호황련환(胡黃連丸) / 
열감(熱疳)
 | 
 | 
화닉환(化䘌丸) / 
감닉(疳䘌)
, 폐감(肺疳)
 | 
 | 
화비단(化痞丹) / 
비괴(痞塊)
 | 
 |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
, 중풍(中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