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인(砂仁) / 축사

동의보감에서 "사인(砂仁) / 축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사인(砂仁) / 축사 과실
라틴명 |
Amomi Fructus |
약재의 효능 |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성비(醒脾)
(비기(脾氣)가 허한(虛寒)하여 운화기능이 무력해진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
|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행기관중(行氣寬中)
(기(氣)를 소통시키고 중초(中焦)를 뚫어주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위(胃)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주의사항 |
혈허화염(血虛火炎), 음허해수(陰虛咳嗽), 잉부기허(孕婦氣虛), 혈리(血痢), 신산부인(新産婦人) 등의 경우에는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청열이진탕(淸熱二陳湯) /
담음구토(痰飮嘔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