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烏頭) / 투구꽃

익생양술에서
"투구꽃"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오두(烏頭) / 투구꽃"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이명
계독(鷄毒)
오두(烏豆)
토부자(土附子)
분포 |
속리산 이북 |
채취기간 |
10월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깊은 산 골짜기 |
성미 |
따뜻하며, 맵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있다. |
번식 |
분근ㆍ씨 |
1회사용량 |
2~3g |
약효 |
뿌리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복용량을 꼭 지킬 것). |
잎
어긋나며 긴 잎자루 끝에서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아래쪽에 달린 잎은 갈라진 잎의 양쪽 첫째 조각과 중앙 조각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위쪽에 달린 잎은 점차 작아지면서 다시 3개로 갈라져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잎에 톱니가 있다.
꽃
9월에 자줏빛 꽃이 꽃줄기 끝에서 총상 또는 겹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의 모양은 고깔이나 투구 같으며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고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핀다. 꽃받침 조각은 5개이며 꽃잎 비슷한데 겉에 털이 있고 뒤쪽의 것은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고 있다. 꽃잎은 2개이고 가장 위쪽의 꽃받침 조각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 밑 부분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씨방은 3~4개이고 털이 있다.
열매
10월에 타원형의 골돌과가 달려 익는데 3개가 붙어 있으며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특징 및 사용
압록오두ㆍ초오라고도 한다. 뿌리는 마늘쪽처럼 생겼다. 줄기는 보통 곧게 서지만 다른 물체에 기대서 자라기도 한다. 유독 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계와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오두(烏頭) / 투구꽃의 덩이뿌리
라틴명 |
Aconiti Tuber |
약재의 효능 |
회양(回陽)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키는 효능임)
|
|
퇴음(退陰)
(음기가 지나치게 항성한 것을 제어하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
|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산옹(散壅)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온명문(溫命門)
(명문(命門)의 상화(相火)의 기운을 보태주는 효능임)
|
|
난비위(暖脾胃)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개관문(開關門)
(관문(關門)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견기부(堅肌膚)
(기부(肌膚)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섭납부양(攝納浮陽)
(양기(陽氣)가 뜨는 것을 끌어당기는 효능임)
|
|
축풍한습(逐風寒濕)
(풍한습의 사기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회양퇴음(回陽退陰)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켜 음기(陰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신(腎)
, 심(心)
|
성미 |
대독(大毒)
, 신고(辛苦)
, 열(熱)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독성 |
The herb and its alkaloids are very toxic. LD50 for mice is 0.3 mg aconitine per Kg (s.c.) or 17.42g of prepared aconite root/Kg (oral) or 3.5 g/Kg (I.v.). Toxic symptomss include brdycardia and irregular rhythm. The specific adverse effect depends on how the aconite preparation is prepared and how long it is decocted. Patients usually lose sensation in the mouth and tongue after drinking the Fu Zi decoction. Nausea and vomiting may occur, as well as spasm of extremities and cardiac arrhythmia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the alkaloids is relatively fast. Because of this, gastric lavage is recommanded in case of overdose 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해마독방(解馬毒方) /
마독입창(馬毒入瘡)
|
|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