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마자(蓖麻子) / 피마자

익생양술에서
"피마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피마자(蓖麻子) / 피마자"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여름(잎), 가을(씨) |
키 |
2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밭이나 빈터에 재배 |
성미 |
평온하며, 맵고 달다. |
분류 |
한해살이풀 |
독성여부 |
있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씨 2.5~3g, 잎 6~10g |
약효 |
잎ㆍ씨 |
사용범위 |
많이 쓰면 이롭지 않다. |
잎
줄기의 마디에서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지름 20~30cm이고 손바닥같이 5~11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꼴 또는 좁은 달걀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앞면은 녹색이지만 갈색이 돌고 양면에 털이 없다.
열매
9~10월에 길이 2cm 정도로 약간 길쭉하게 둥근 삭과가 부드러운 가시에 싸여 달리는데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그 안에 검은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는 씨가 3개 들어 있다. 씨는 타원형이고 밋밋하며 짙은 갈색 점이 겉에 박혀 있어 마치 새알처럼 생겼다.
포자
8~9월에 엷은 홍색이나 엷은 황색으로 피는데 원줄기 끝에서 길이 20cm 정도의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암수한그루의 단성화이다. 엷은 황색인 수꽃은 밑 부분에 달리는데 수술대가 잘게 갈라지며 꽃밥이 있다. 꽃덮이 조각은 암꽃과 수꽃 모두 5개씩이다. 엷은 홍색인 암꽃은 위쪽에 모여 달리는데 3개의 암술대가 끝에서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1개이고 3실이며 털이 나 있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운동계ㆍ소화기ㆍ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
피마자(蓖麻子) / 피마자 씨
라틴명 |
Ricini Semen |
약재의 효능 |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발독(拔毒)
|
|
통체(通滯)
(정체된 것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통변(通便)
(변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축수(逐水)
(몸속의 수기를 빼내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
|
낙포(落胞)
(출산시 태반의 배출을 촉진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폐(肺)
|
성미 |
감신(甘辛)
, 소독(小毒)
, 평(平)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최생(催生)에는 손발바닥에 바름. |
약재사용처방 |
비마자(蓖麻子)[1] /
이명(耳鳴)
, 이롱(耳聾)
|
|
비마자(蓖麻子)[2] /
설종(舌腫)
, 설창(舌脹)
|
|
비마자(蓖麻子)[3] /
인종생창(咽腫生瘡)
, 후비(喉痺)
|
|
비마자(蓖麻子)[4]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
비마자(蓖麻子)[5] /
십종수기(十種水氣)
, 고독(蠱毒)
, 장기(瘴氣)
|
|
비마자(蓖麻子)[6] /
견상(犬傷)
|
|
삼신고(三神膏)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생근산(生筋散) /
오연(五軟)
|
|
여성고(如聖膏)[2] /
사태불하(死胎不下)
, 난산(難産)
|
|
여성고(如聖膏)[3] /
사태불하(死胎不下)
, 난산(難産)
|
|
여신단(如神丹) /
난산(難産)
|
|
우선단(遇仙丹)[2] /
사태불하(死胎不下)
, 횡산(橫産)
, 역산(逆産)
|
|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1] /
흘답(疙瘩)
, 결핵(結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