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Ligustici Sinensis Rhizoma cum Radix | 
| 약재의 효능 |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 승습(勝濕)
 (습사(濕邪)를 물리치는 효능임) | 
|  |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 
|  | 통혈(通血)
 (혈액이 정체되지 않고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 진통(鎭痛)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 장기부(長肌膚) | 
|  | 배농수(排膿水) | 
|  | 거풍한습(祛風寒濕) | 
| 작용부위 | 방광(膀胱) | 
| 성미 | 신(辛)
, 온(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 
|  |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 
|  | 강활방풍탕(羌活防風湯) / 
파상풍(破傷風) | 
|  | 강활산(羌活散) / 
치아탈락(齒牙脫落)
, 치근동요(齒根動搖)
, 풍랭치통(風冷齒痛) | 
|  |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항강(項强) | 
|  |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 
|  | 고본(藁本)[1] / 
전정통(巓頂痛)
, 두풍(頭風) | 
|  | 고본(藁本)[2] / 
간포(䵟皰)
, 분자(粉刺) | 
|  | 고본(藁本)[3] / 
두풍(頭風)
, 오풍(惡風) | 
|  | 고본(藁本)[4] / 
풍습(風濕) | 
|  | 고창탕(藁蒼湯) / 
심위통(心胃痛) |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 궁궁산(芎藭散)[1] / 
풍훈(風暈)
, 간허두훈(肝虛頭暈) | 
|  |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 
|  |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혈허두통(血虛頭痛)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당귀산(當歸散)[3] / 
통풍(痛風) | 
|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2] / 
파상풍(破傷風) | 
|  |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 도씨마황탕(陶氏麻黃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안릉긴급(眼楞緊急)
, 도첩권모(倒睫拳毛) | 
|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 
|  | 백룡환(白龍丸)[1] / 
주사비(酒齄鼻) | 
|  |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
, 내장(內障) |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난현풍(爛弦風)
, 도첩권모(倒睫拳毛) | 
|  |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
, 습온(濕溫)
, 풍온(風溫) | 
|  |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 
|  |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 
|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면종(面腫)
, 위풍(胃風) |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
, 배옹(背癰)
, 오발옹저(五發癰疽) |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 
|  |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 
|  |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 
|  |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
, 상한양감(傷寒兩感) | 
|  | 신출산(神朮散)[1] / 
상한표증(傷寒表證) | 
|  | 신출산(神朮散)[2] / 
산람장기(山嵐瘴氣) | 
|  |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 
|  |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 
|  |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 
|  |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
, 풍자(風刺) | 
|  | 옥지산(玉池散) / 
풍치(風齒)
, 골조풍(骨槽風) | 
|  | 온분(溫粉) / 
자한(自汗) | 
|  | 온풍산(溫風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 
|  |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 
중풍(中風)
, 반신불수(半身不遂) | 
|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 
|  | 제습강활탕(除濕羌活湯) / 
풍습(風濕) |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 조세약(澡洗藥) / 
풍조신양(風燥身痒) | 
|  | 조중탕(調中湯)[2] / 
온역(瘟疫) | 
|  |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 
|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 
|  |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척감(脊疳)
, 슬통(膝痛) | 
|  | 천궁산(川芎散)[2] / 
두목불청(頭目不淸)
, 현훈(眩暈) |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 
|  |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 
|  |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뇌(發腦)
, 마목(麻木)
, 발배(發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