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

 익생양술에서 "자작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화피(樺皮)/자작나무 껍질"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주로 북부 지방) 채취기간 연중
20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깊은 산 양지 성미 차며, 쓰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나무껍질 10∼15g
약효 나무껍질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만주자작나무ㆍ자귀나무
짧은 가지에서는 어긋나고 긴 가지에서는 2개씩 나온다. 잎몸은 삼각형 또는 마름모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거칠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측맥은 5~8쌍으로 뚜렷하고 뒷면에 기름점이 있으며 잎맥 사이에 갈색 털이 있다.
4∼5월에 잎이 나오기 전 또는 잎과 함께 연한 붉은색으로 핀다. 암수한그루의 단성화이다. 꽃은 수상 꽃차례로 달려 이삭 또는 꼬리처럼 보이는데 수꽃이삭은 아래로 길게 늘어지고 암꽃이삭은 짧은 가지에 곧게 서 있다가 열매가 익으면 아래로 처진다. 열매이삭은 길이 4cm 정도의 원통형이다. 갈라진 꽃턱잎의 옆 조각은 가운데 조각보다 2~3배 길다.
열매
9∼10월에 원통 모양의 견과가 밑으로 처져 익는데 열매의 날개가 열매의 나비보다 다소 넓다. 열매가 다 익으면 날개 달린 씨가 사방으로 흩어진다.
특징 및 사용
백단(白椴)ㆍ백화(白樺)라고도 하며 줄여서 자작이라고도 한다. 하얀 나무껍질을 얇게 벗겨 내서 불을 붙이면 기름 성분 때문에 자작자작 소리를 내며 잘 탄다고 해서 자작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나무껍질은 흰빛을 띠며 옆으로 얇게 종이처럼 벗겨진다. 나무껍질이 아름다워 정원수ㆍ가로수ㆍ풍치림으로 심는다. 작은 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며 기름점이 있다. 공업용ㆍ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나무껍질을 화피(樺皮)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자작나무의 수액은 화수액이라 하여 식용하거나 술로 만들어 먹는다. 목재는 질이 굳고 질겨서 건축재ㆍ세공재ㆍ기구ㆍ조각ㆍ목기ㆍ펄프 원료로 쓰인다. 팔만대장경의 목판도 일부는 이 나무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약명(藥名)은 백화(白樺)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화피(樺皮) / 자작나무 껍질
라틴명 Betulae Cortex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이습(利濕)  (삼습이수제(滲濕利水劑)를 이용하여 습사(濕邪)를 몸밖으로 배설시키는 방법임.)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벽악기(辟惡氣)  (악기(惡氣)를 피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화피(樺皮) /  풍소양(風瘙痒)
화피산(樺皮散)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은진(癮疹)
화피음자(樺皮飮子) /  두출불쾌(痘出不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