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굿대

 익생양술에서 "절굿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누로(漏蘆)/절굿대 뿌리"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1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양지 성미 차며, 짜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4∼6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뻐꾹채ㆍ큰절굿대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가장자리가 엉겅퀴 잎처럼 갈라지는데 가장자리에 길이 2~3mm의 가시가 달린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고 길이 15~25cm의 긴 타원형이며 5~6쌍으로 갈라진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솜털로 덮여 있어 백색인데 수분이 적고 건조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7∼8월에 남색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는데 공처럼 둥근 두상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핀다. 꽃의 지름은 5cm 정도이고 대롱꽃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꽃차례받침의 끝은 가시처럼 된다. 꽃부리는 길이 12~13mm이고 끝이 깊게 5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진다.
열매
9∼10월에 원통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황갈색 털이 촘촘히 나 있다. 비늘 조각 같은 흰 갓털은 끝이 가시처럼 되며 밑은 뾰족하고 도드라져 있다.
특징 및 사용
개수리취ㆍ둥둥방망이ㆍ분취아재비ㆍ절구때ㆍ절구대ㆍ야란(野蘭)이라고도 한다. 뿌리가 비대하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가 약간 갈라지고 솜 같은 털로 덮여 있어 전체에 흰색이 돈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생약인 누로는 뿌리를 말린 것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누로(漏蘆) / 절굿대 뿌리
라틴명 Echinopsis Radix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소옹하유(消癰下乳)
서근통맥(舒筋通脈)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설열해독(泄熱解毒)
익기(益氣)
총명(聰明)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임신부는 신중하게 쓸 것.
약재사용처방 누로산(漏蘆散)[1] /  유옹(乳癰)
누로산(漏蘆散)[2] /  대두온(大頭瘟)
누로음자(漏蘆飮子) /  악창(惡瘡)부골저(附骨疽)
사심탕(瀉心湯)[2] /  심옹(心癰)
자초고(紫草膏)[1] /  열독창개(熱毒瘡疥)
저제죽(猪蹄粥) /  유즙불행(乳汁不行)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내저(內疽)정창(釘瘡)발배(發背)
황기산(黃芪散) /  누정(漏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