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두리

 익생양술에서 "족두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세신(細辛)/족두리"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10~2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나무 그늘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뿌리 0.7~2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민족두리풀ㆍ개족두리풀
원줄기 끝에서 보통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퍼지는데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나비 5~10cm의 심장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 맥 위에 흔히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보라색을 띤다.
4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이 나오려고 할 때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족두리처럼 생긴 꽃이 1개씩 옆을 향해 달린다. 통처럼 생긴 꽃받침은 끝이 3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 비슷한 달걀꼴로서 흔히 끝 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말린다. 수술은 12개이며 암술대는 6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없다.
열매
8~9월에 타원형의 장과가 달려 익는데 주름이 져 있으며 끝에 꽃받침 조각이 달려 있다. 열매 속에는 씨가 20개 정도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족두리풀ㆍ조리풀ㆍ세초(細草)ㆍ소신(少辛)ㆍ시(繪)ㆍ세심(洗心)이라고도 한다. 꽃의 모양이 옛날 혼례에 사용하던 족두리처럼 생겼다 하여 족두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기며 마디에서 수염뿌리를 내린다. 뿌리줄기는 다육질에 매운 맛이 있다. 뿌리는 세신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하는데 세신(細辛)이라는 명칭은 뿌리가 매우 가늘고 몹시 매운맛을 가지고 있어 붙여졌다. 흔히 입안을 개운하게 하는 은단을 만드는데 들어간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가루는 코에 뿌린다. 술을 담가서도 쓴다.
세신(細辛) / 족두리
라틴명 Asari Radix
약재의 효능 산풍(散風)  (풍사(風邪)를 흩뜨리는 효능임)
거한(祛寒)  (한(寒)을 제거하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온폐(溫肺)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화음(化飮)  (몸 안에 생긴 수음(水飮)을 없애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파담(破痰)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익담기(益膽氣)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행수기(行水氣)
윤간신(潤肝腎)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신(腎) , 폐(肺)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5푼(分) 이상을 써서는 안됨. 여로(藜蘆)와 같이 쓰지 말 것. 혈허내열(血虛內熱), 기허유한(氣虛有汗), 화울두통(火鬱頭痛), 발열해수(發熱咳嗽)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독성 Adverse effects include headache, sweating, irritation, dyspnea, and coma. Large doses may result in death, due to respiratory depression. The LD50 in mice is 123.7 mg/kg(by stomach) and 7.78 mg/kg (I.v.).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약재사용처방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2] /  위해(胃咳)폐한(肺寒)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기허두통(氣虛頭痛)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강활방풍탕(羌活防風湯) /  파상풍(破傷風)
강활산(羌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풍랭치통(風冷齒痛)치아탈락(齒牙脫落)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강활충화탕(羌活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개소산(開笑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혼모(昏冒)풍중장(風中臟)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겸금산(兼金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계출탕(桂朮湯) /  혈분증(血分證)기분증(氣分證)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과정산(瓜丁散) /  비치(鼻痔)
광대중명탕(廣大重明湯) /  양검적종(兩瞼赤腫)목은삽(目隱澁)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태양병(太陽病)축혈(畜血)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정두통(正頭痛)비색(鼻塞)편두통(偏頭痛)두풍(頭風)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궁갈탕(芎葛湯) /  풍한협통(風寒脇痛)
궁궁산(芎藭散)[1] /  간허두훈(肝虛頭暈)풍훈(風暈)
궁궁산(芎藭散)[2] /  비색(鼻塞)
궁귀음(芎歸飮) /  이명(耳鳴)풍롱(風聾)
궁서원(芎犀元) /  편두통(偏頭痛)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궁신산(芎辛散) /  열담실음(熱痰失音)
궁신탕(芎辛湯) /  외감두통(外感頭痛)현훈(眩暈)구토(嘔吐)
궁지산(芎芷散) /  이명(耳鳴)풍롱(風聾)
금불초산(金沸草散) /  풍수(風嗽)담연옹성(痰涎壅盛)
기각자산(枳殼煮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납다음(臘茶飮) /  적맥예(赤脈翳)
단간단(斷癎丹) /  전간(癲癎)
단삼음자(團蔘飮子) /  폐위(肺痿)기수(氣嗽)노채(勞瘵)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2]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2] /  파상풍(破傷風)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대단하환(大斷下丸) /  허리(虛痢)구리(久痢)
대영수탕(大寧嗽湯) /  노수(勞嗽)
대진교탕(大秦芄湯) /  중풍(中風)설강(舌强)탄탄(癱瘓)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도씨보중익기탕(陶氏補中益氣湯) /  상한(傷寒)
도씨재조산(陶氏再造散) /  상한망양(傷寒亡陽)
도씨충화탕(陶氏冲和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독활산(獨活散) /  아선(牙宣)치근동요(齒根動搖)
독활탕(獨活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심위통(心胃痛)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마황산(麻黃散)[1] /  역절풍(歷節風)
마황좌경탕(麻黃左經湯) /  각기(脚氣)
마황행인음(麻黃杏仁飮) /  상한표증(傷寒表證)
만금탕(萬金湯) /  허증(虛症)사지불수(四肢不遂)중풍(中風)
만병원(萬病元) /  벽괴(癖塊)시주(尸注)학질(瘧疾)전간(癲癎)고독(蠱毒)황달(黃疸)
만형산(蔓荊散) /  근골절상(筋骨折傷)타박상(打撲傷)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도첩권모(倒睫拳毛)안릉긴급(眼楞緊急)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유루(流淚)
무운산(巫雲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1] /  조잡(嘈雜)희타담(喜唾痰)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2] /  한수(寒嗽)
반하좌경탕(半夏左經湯) /  각기(脚氣)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방풍충화탕(防風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백강잠산(白殭蠶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백룡환(白龍丸)[1] /  주사비(酒齄鼻)
백출산(白朮散)[2] /  상한음독(傷寒陰毒)
백황산(白黃散) /  비옹(鼻齆)비치(鼻痔)
별리산(別離散) /  심풍(心風)
보간산(保肝散) /  내장(內障)간일성이(看一成二)
보간산(補肝散)[1] /  내장(內障)
보간산(補肝散)[2] /  원예(圓翳)
보간산(補肝散)[3] /  음허생예(陰虛生翳)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청맹(靑盲)내장(內障)
봉와산(蜂窩散) /  풍치(風齒)아주공(牙蛀孔)
부연산(赴宴散)[3] /  구창(口瘡)
부연산(赴宴散)[4] /  구창(口瘡)
불환금단(不換金丹) /  중풍(中風)구안와사(口眼喎斜)
비불문향취방(鼻不聞香臭方) /  비색(鼻塞)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탄탄(癱瘓)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신탕(瀉腎湯) /  임(淋)
삼비탕(三痺湯) /  기혈응체(氣血凝滯)풍비(風痺)
삼신산(三辛散) /  해로(解顱)
삼양탕(三陽湯) /  삼양두통(三陽頭痛)
삼오칠산(三五七散) /  풍한두통(風寒頭痛)목현(目眩)
삼출반하탕(蔘朮半夏湯) /  만경풍(慢驚風)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내장(內障)외장(外障)난현풍(爛弦風)도첩권모(倒睫拳毛)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섭생음(攝生飮) /  졸중풍(卒中風)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성성산(惺惺散) /  상풍발열(傷風發熱)번갈(煩渴)담수(痰嗽)
세신(細辛)[4] /  뇌두풍(腦頭風)두면풍(頭面風)
세신(細辛)[5] /  목통(目痛)
세신(細辛)[6] /  비옹(鼻齆)비치(鼻痔)
세신(細辛)[7] /  구취(口臭)
세신(細辛)[8] /  풍랭치통(風冷齒痛)충아통(蟲牙痛)
세신(細辛)[9] /  사지구급(四肢拘急)
세신고(細辛膏) /  비구(鼻鼽)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세약(洗藥) /  대풍창(大風瘡)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소청룡탕(小靑龍湯) /  상한표증(傷寒表證)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중풍(中風)
소풍탕(疎風湯) /  수족불인(手足不仁)풍중부(風中腑)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속명자산(續命煮散) /  중풍(中風)허증(虛症)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신성산(神聖散) /  뇌풍(腦風)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상한양감(傷寒兩感)
신이고(辛荑膏) /  비치(鼻痔)
신출산(神朮散)[2] /  산람장기(山嵐瘴氣)
신출산(神朮散)[3] /  풍수(風嗽)
신황삼백탕(辛黃三白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신효명목탕(神效明目湯) /  도첩권모(倒睫拳毛)
십주환(十疰丸) /  귀기(鬼氣)십종시주(十種尸疰)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어풍단(禦風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반신불수(半身不遂)
여성병자(如聖餠子) /  정두통(正頭痛)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영양각산(羚羊角散)[4] /  빙예(氷翳)
오매환(烏梅丸)[1] /  회궐(蛔厥)
오수유탕(吳茱萸湯)[2] /  음랭(陰冷)
옥지산(玉池散) /  골조풍(骨槽風)풍치(風齒)
온폐탕(溫肺湯)[2] /  한수(寒嗽)
온풍산(溫風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온해산(溫解散) /  감루(疳瘻)누창(瘻瘡)
울금산(鬱金散) /  치뉵(齒衄)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  치통(齒痛)
윤폐고(潤肺膏)[2] /  담천(痰喘)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1] /  노수(勞嗽)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인삼산(人蔘散)[3] /  담수(痰嗽)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  구천(久喘)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  풍한졸아(風寒卒牙)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입효산(立效散)[5] /  치통(齒痛)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전풍(紫癜風)자운풍(紫雲風)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점란현풍약(點爛弦風藥) /  난현풍(爛弦風)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정향산(丁香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항문양통(肛門痒痛)치루(痔瘻)
찰아방(擦牙方)[1] /  치통(齒痛)
찰아방(擦牙方)[2] /  치통(齒痛)
채명단(寨命丹) /  정창(釘瘡)변독(便毒)유옹(乳癰)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  정두통(正頭痛)편두통(偏頭痛)
천궁환(川芎丸) /  두목불청(頭目不淸)
천초산(川椒散) /  비구(鼻鼽)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담훈(痰暈)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축비통천산(縮鼻通天散) /  졸중풍(卒中風)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1] /  개선(疥癬)
치대풍창세약(治大風瘡洗藥) /  대풍창(大風瘡)
치아동방(治牙疼方) /  아치통(牙齒痛)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1] /  양매창(楊梅瘡)
치후비생창방(治喉痺生瘡方) /  후비(喉痺)유아(乳蛾)
칠생환(七生丸) /  두풍(頭風)
칠진산(七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통관산(通關散)[2] /  졸중풍(卒中風)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통정산(通頂散) /  인사불성(人事不省)졸중풍(卒中風)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폐풍환(肺風丸) /  비사(鼻齄)
포황고(蒲黃膏) /  졸이롱(卒耳聾)
합개환(蛤蚧丸) /  구수실음(久嗽失音)
해독탕(解毒湯)[1] /  장독(臟毒)
행자탕(杏子湯) /  한수(寒嗽)
형개탕(荊芥湯)[1] /  위열치통(胃熱齒痛)풍치(風齒)
홍옥산(紅玉散)[1] /  면상잡병(面上雜病)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