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심(桂心) / 계수나무

 익생양술에서 "계수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계심(桂心) / 계수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7m 정도 취급요령 그늘에서 말려 쓴다.
생지 냇가, 양지바른 곳, 정원에 식재 성미 따뜻하며, 달고 시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분주 1회사용량 나무껍질 5~6g
약효 나무껍질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는데 넓은 달걀꼴이며 밑부분은 심장 밑을 닮았고 끝은 다소 둔하다. 길이와 나비는 각각 3~7cm이다. 앞면은 윤기가 나며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손바닥 모양의 맥이 5~7개 정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길이 2~2.5cm인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5월에 원추 꽃차례로 황백색 또는 연노란색의 단성화가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핀다. 꽃덮이는 없고 작은 꽃자루에 꽃턱잎이 있다. 수꽃에는 많은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3~4mm로서 선형이다. 암꽃에는 3~5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는 실같이 가늘며 연한 홍색이다.
열매
3~5개씩 달리는 장과가 12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익는데 굽은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는 15mm 정도이다. 씨는 편평하며 한쪽에 날개가 있고 길이는 5~6.5mm이다.
특징 및 사용
계수ㆍ간과라고도 한다. 높이 25m, 지름 1.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곧게 자라고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잔가지가 있다. 나무껍질에 적갈색ㆍ회갈색의 무늬가 있는데 껍질이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 안쪽은 짙은 적갈색이다. 관상용ㆍ공업용ㆍ향료ㆍ약용으로 이용된다. 가지를 계지(桂枝), 나무껍질을 계피라고 하는데 특이한 방향(芳香)이 있어 향료의 원료로 널리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계심(桂心) / 계수나무 속
라틴명 Cassiae Cortex Interior
약재의 효능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통구규(通九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탁옹저두독(托癰疽痘毒)  (옹저와 두차의 독기를 빼내는 효능임)
생기육(生肌肉)  (기육(肌肉)을 새로 생기게 하는 효능임.)
소어혈(消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보음활혈(補陰活血)
작용부위 심(心) , 심포(心包)
성미 고신(苦辛)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간피(幹皮)에서 주피와 내피의 얇은 층을 벗긴 것.
독성 The drug is contraindicated in cases of fever of unknown origin, prgnancy, stomach or duodenal ulcers 1, 2, 3), and in patients with an allergy to cinnamon or Peru balsam 2).
Available data are not sufficient for an adequate benefit / risk assessment. Therefore, Cinnamomum cassia should not be used during lactati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drug in children have not been established.
Allergic reactions of the skin and mucosa have been reported 1, 4-7).
1) German Commission E Monograph, Cinnamomum cassia cortex. Bundesanzeiger, 1990, 22: 1 February.
2) Bisset NG. Max Wichtl's herbal drugs & phytopharmaceuticals. Boca Raton, FL, CRC Press, 1994:148-150.
3) Medicinal plants in China. Manil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9: 78-79 (WHO Regional Publications, Western Pacific Serirs, No. 2).
4) Nixon R. Vignette in contact dermatology. Cinnamon allergy in bakers. Australian journal of dermatology, 1995, 36:41.
5) Hausen BJM. Allergiepflanzen-Pflanzenallergene. Landsberg, Ecomed, 1988: 95-96.
6) Calnan CD. Cinnamon dermatitis from an ointment. Contact dermatitis, 1976, 2:167-170.
7) Drake TE, Maibach HI.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stomatitis caused by cinnamic aldehyde-flavored toothpaste. Archives of dermatology, 1976, 112:202-203.
약재사용처방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가미소건중탕(加味小建中湯) /  심위통(心胃痛)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癰疽)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계령산(桂靈散) /  심복통(心腹痛)
계령원(桂苓元) /  상서토사(傷暑吐瀉)
계심(桂心)[1] /  감한실음(感寒失音)
계심(桂心)[2] /  음란편추(陰卵偏墜)
계심(桂心)[3] /  산후혈가(産後血瘕)
계피(桂皮)[2] /  퇴산(㿉疝)한산(寒疝)
계향환(桂香丸)[1] /  과채적(果菜積)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  위랭(胃冷)
귤핵환(橘核丸) /  퇴산(㿉疝)난종(卵腫)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산후요통(産後腰痛)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  상한축혈증(傷寒蓄血證)소복급통(小腹急痛)
도체탕(導滯湯) /  농혈리(膿血痢)
마린화환(馬藺花丸) /  퇴산(㿉疝)음란편추(陰卵偏墜)
마황좌경탕(麻黃左經湯) /  각기(脚氣)
마황황금탕(麻黃黃芩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만령산(萬靈散) /  소변임력(小便淋瀝)어혈복통(瘀血腹痛)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1] /  조잡(嘈雜)희타담(喜唾痰)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2] /  한수(寒嗽)
반하좌경탕(半夏左經湯) /  각기(脚氣)
방풍탕(防風湯)[2] /  행비(行痺)
백개자산(白芥子散) /  견비통(肩臂痛)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  손설(飱泄)곽란(霍亂)
보손당귀산(補損當歸散) /  절상(折傷)타박상(打撲傷)
복령백출탕(茯苓白朮湯) /  습온(濕溫)
복령산(茯苓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복령오미자탕(茯苓五味子湯) /  지음(支飮)수족냉비(手足冷痺)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내장(內障)청맹(靑盲)
부자산(附子散)[1] /  상한음독(傷寒陰毒)
사간탕(射干湯)[1] /  후아실성(喉{아}失聲)풍한졸아(風寒卒牙)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산조인탕(酸棗仁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산취탕(散聚湯) /  징가(癥瘕)육취(六聚)
삼성고(三聖膏)[2] /  적괴(積塊)
삼성산(三聖散)[2] /  아침통(兒枕痛)
삼신산(三辛散) /  해로(解顱)
서근산(舒筋散) /  좌섬요통(挫閃腰痛)혈력요통(血瀝腰痛)
세신고(細辛膏) /  비구(鼻鼽)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시령탕(柴苓湯) /  소변자리(小便自利)양증(陽症)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여신탕(如神湯) /  좌섬요통(挫閃腰痛)
영출탕(苓朮湯)[2] /  습온(濕溫)
오매환(烏梅丸)[1] /  회궐(蛔厥)
오음탕(五飮湯) /  벽음(癖飮)일음(溢飮)유음(留飮)
옥분환(玉粉丸)[1] /  실음(失音)한담(寒痰)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위피산(蝟皮散) /  탈항(脫肛)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작약탕(芍藥湯)[1] /  농혈리(膿血痢)
작약황련탕(芍藥黃連湯) /  장풍(腸風)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지룡산(地龍散) /  어혈요통(瘀血腰痛)
지모마황탕(知母麻黃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지황원(地黃元) /  독서손목(讀書損目)
진액단(鎭液丹) /  자한(自汗)
천초산(川椒散) /  비구(鼻鼽)
추기산(推氣散) /  우협통(右脇痛)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熱脹)
칠성환(七聖丸)[1] /  항문양통(肛門痒痛)
통경환(通經丸) /  혈가(血瘕)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파결단(破結丹) /  음독결흉(陰毒結胸)양독결흉(陽毒結胸)
파음단(破陰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파혈산동탕(破血散疼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해고과독일방(解苽果毒一方)[1] /  고과독(苽果毒)
행삼산(杏蔘散)[1] /  외상천급(外傷喘急)
향계산(香桂散) /  사태불하(死胎不下)
현호색환(玄胡索丸) /  혈심통(血心痛)
호골산(虎骨散)[1] /  역절풍(歷節風)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환혼탕(還魂湯) /  객오(客忤)시궐(尸厥)중악(中惡)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중풍(中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