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견우자(黑牽牛子) / 나팔꽃

 익생양술에서 "나팔꽃"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흑견우자(黑牽牛子) / 나팔꽃"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2~3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들, 울타리, 밭둑 성미 차며, 쓰고 맵다.
분류 한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씨ㆍ온포기 4~6g
약효 씨ㆍ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의 모양은 심장형이고 보통 세 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날카롭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표면에 털이 있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하나의 꽃대에 1~3송이씩 달려 피는데 나팔처럼 생긴 통꽃이다. 빛깔은 품종에 따라 홍색ㆍ백색ㆍ청백색ㆍ홍자색ㆍ청자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꽃봉오리는 붓끝 같은 모양이고 오른쪽으로 말리는 주름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그 조각은 좁고 길며 뒷면에 긴 털이 있다. 꽃부리는 지름 10cm 정도 되는 깔때기 모양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아침 일찍 피었다가 낮에는 오므라든다.
열매
8~10월에 둥근 삭과를 맺어 익으면서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꽃받침 안에 싸여 있으며 3실(室)에 각각 2개씩 6개의 세모진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견우화(牽牛花)ㆍ견우ㆍ구이초(狗耳草)ㆍ분증초(盆甑草)ㆍ천가(天茄)라고도 한다. 전체에 거친 털이 있다. 줄기는 덩굴지며 길게 뻗어 다른 식물이나 물체를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자라고 밑을 향한 털이 있다. 나팔꽃은 아침 일찍 피는데, 메꽃은 꽃의 모양이 나팔꽃과 비슷하나 대낮에 꽃이 핀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나팔꽃에 잎이 많이 붙어 있을 때 뿌리에서 20cm쯤 잘라서 말려 두었다가 동상에 걸렸을 때 이것을 달인 물로 환부를 찜질하였다. 말린 나팔꽃 씨를 견우자라고 한다. 씨의 껍질이 흑자색인 것을 흑축(黑丑), 황색을 띤 백색인 것을 백축(白丑)이라 하는데, 흑축 중에서도 청백색의 꽃이 핀 나팔꽃의 씨를 약재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씨의 생즙을 쓸 때에는 물에 불려 짓찧어서 생즙을 낸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장복을 금한다.
흑견우자(黑牽牛子) / 나팔꽃 씨
라틴명 Pharbitidis Nigri Semen
약재의 효능 사수통변(瀉水通便)  (수(水)를 없애고 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축담(逐痰)  (담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음(消飮)  (인체 내에 정체되어 있는 수음(水飮)을 줄여주는 치료 방법임.)
수풍(搜風)  (내풍(內風)을 제거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통체(通滯)  (정체된 것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이대소장(利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하냉농(下冷膿)
해고독(解蠱毒)  (고독(蠱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살충공적(殺蟲攻積)  (기생충을 없애고 적체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준하선주(埈下善走)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성미 고(苦) , 유독(有毒) , 한(寒)
주의사항 임신부는 쓰지 말 것. 파두(巴豆)와 같이 쓰지 말 것.
독성 It should not be used frequently, and is contraindicated in pregnancy. Overdosage results in hematuria, abdominal pain, nausea and vomiting, and blood in the feces. This herb should not be given together with croton oil.1).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Low / toxic class of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견우주(牽牛酒) /  감루(疳瘻)
권백산(卷柏散) /  각기(脚氣)
기각환(枳殼丸)[1] /  삼초약(三焦約)
대황견우산(大黃牽牛散) /  대변비결(大便秘結)
만응환(萬應丸)[1] /  제충(諸蟲)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묘응환(妙應丸)[1] /  충적(蟲積)
수풍환(搜風丸)[1] /  각기(脚氣)
신선추담원(神仙墜痰元) /  담음(痰飮)
우선단(遇仙丹)[1] /  충적(蟲積)
울금황련환(鬱金黃連丸) /  융폐(癃閉)사석림(沙石淋)백탁(白濁)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적담환(敵痰丸) /  담음(痰飮)
전진환(全眞丸)[1] /  삼초옹체(三焦壅滯)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전진환(全眞丸)[2] /  삼초옹체(三焦壅滯)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추기환(推氣丸)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  충적(蟲積)
추충환(追蟲丸) /  충적(蟲積)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  충적(蟲積)
탈명산(奪命散)[4] /  금창(金瘡)도전상(刀剪傷)낙상(落傷)
택사산(澤瀉散) /  수종(水腫)
황흑산(黃黑散) /  장옹(腸癰)
흑견우자(黑牽牛子)[1] /  대변비결(大便秘結)
흑견우자(黑牽牛子)[2] /  풍비(風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