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麥芽) / 보리

 익생양술에서 "보리"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맥아(麥芽) / 보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남부 지방 채취기간 6~7월(완숙기)
1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약간 따뜻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겉보리 10~15g
약효 열매(겉보리)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어긋나며 선 모양의 넓은 댓잎피침형인데 나비는 10~15mm이고 끝은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겉은 매끄러우며 평행맥이 있고 표면은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는데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잎혀는 짧다.
5월에 길이 8cm 정도의 수상 꽃차례를 이루면서 줄기 끝에 긴 수염을 달고 핀다. 한 이삭에 15~20개의 마디가 있고 한 마디에는 3개의 꽃이 달린다. 1개의 암술과 3개의 수술이 있다. 이삭에 달린 수염은 까끄라기[芒]가 된다.
열매
6~7월에 푸른 영과가 달려 누렇게 익는데 이 열매를 보리라고 한다. 이삭의 마디마다 달리는 3개의 꽃이 모두 여물어서 얼기설기 달리므로 씨알의 배열이 6줄로 되어 여섯줄보리가 된다. 씨의 크기는 길이 6~8mm, 나비 3~4mm, 두께 2mm 안팎이다.
특징 및 사용
대맥(大麥)ㆍ모맥(牟麥)ㆍ숙맥(宿麥)이라고도 한다. 원줄기는 둥글고 곧게 서는데 마디 사이가 길고 가지가 없으며 속이 비어 있다. 보리의 줄기는 밀보다 약해서 넘어지기 쉽지만 넘어진 뒤에 일어서는 성질은 밀보다 강하다. 파종 시기에 따라 가을보리와 봄보리로 나눈다. 쌀 다음 가는 주식 곡물이며 맥주 양조의 원료로 쓰인다. 특히 보리에는 비타민 B₁과 B₂의 함량이 쌀보다 많아 각기병 등을 예방하는 데 좋으며 볶아서 보리차로 많이 먹는다. 또한 싹이 튼 맥아(麥芽)는 엿기름이라 하여 엿ㆍ식혜ㆍ감주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이 밖에 줄기는 모자 등의 공예품, 땔감과 퇴비 등에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엿기름은 겉보리(껍질을 벗기지 않은 보리)를 물에 담가 싹을 틔워 말려 두고 사용한다.
맥아(麥芽) / 엿기름
라틴명 Hordei Fructus Germinatus
약재의 효능 건비개위(健脾開胃)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행기소식(行氣消食)  (기(氣)를 소통시키고 식사한 것을 소화시켜주는 효능임)
퇴유소창(退乳消脹)  (젖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하고 정체되어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낙태(落胎)  (낙태(落胎) 시키는 효능임)
건비화적(健脾化積)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적(積)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甘)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su, H., Oriental Materia Medica, A Concise Guide. Long Beach; Oriental Healing Arts, 1986.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식적(食積)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식상(食傷)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계비원(啓脾元) /  불능식(不能食)비위불화(脾胃不和)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  허손(虛損)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  식상(食傷)
국얼원(麴蘖元) /  주벽(酒癖)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인사불성(人事不省)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적취(積聚)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기체복통(氣滯腹痛)식적복통(食積腹痛)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백출복령탕(白朮茯苓湯) /  식비(食痺)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해학(痎瘧)
보비탕(補脾湯)[1] /  비허(脾虛)
보화환(保和丸)[1] /  적취(積聚)비괴(痞塊)
보화환(保和丸)[2] /  식적(食積)주적(酒積)
보화환(保和丸)[3] /  식적(食積)주적(酒積)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  식비(食痺)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사보단(四寶丹)[1] /  황달(黃疸)달벽(疸癖)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삼릉전(三稜煎)[2] /  기괴(氣塊)혈가(血瘕)주적(酒積)식적(食積)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방광병(膀胱病)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생위단(生胃丹) /  비위허약(脾胃虛弱)불사식(不思食)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탄산(呑酸)허비(虛痞)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소식환(消食丸) /  숙식(宿食)식적(食積)유적(乳積)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식적(食積)담음(痰飮)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아위환(阿魏丸)[1] /  육적(肉積)식적(食積)
양비환(養脾丸) /  식상(食傷)비위허한(脾胃虛寒)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오매모과탕(烏梅木瓜湯) /  주갈(酒渴)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육신환(六神丸) /  이질(痢疾)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야발음학(夜發陰瘧)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제고보명단(諸蠱保命丹) /  지주고창(蜘蛛蠱脹)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주적(酒積)식적(食積)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치황달애끽잡물일방(治黃疸愛喫雜物一方) /  담벽(痰癖)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곡달(穀疸)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복창(腹脹)비위허한(脾胃虛寒)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탄산(呑酸)조잡(嘈雜)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육취(六聚)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후박전(厚朴煎) /  변혈(便血)하혈(下血)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