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목(蘇木) / 소목

 동의보감에서 "소목(蘇木) / 소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소목(蘇木) / 소목
라틴명 Sappan Lignum
약재의 효능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거어(去瘀)  (어혈(瘀血)을 제거한다는 뜻임.)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토악물(吐惡物)
소옹종(消癰腫)  (옹저(癰疽) 및 종독(腫毒)을 없내는 효능임)
산표행혈(散表行血)
진통(鎭痛)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방향(芳香)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심(心)
성미 감함(甘鹹) , 평(平)
약전기재 원색화한약도감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
당귀수산(當歸鬚散) /  타박상(打撲傷)혈결흉(血結胸)
당귀음(當歸飮) /  혈수(血嗽)
도인탕(桃仁湯) /  산후요통(産後腰痛)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농이(膿耳)이내생창(耳內生瘡)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사심탕(瀉心湯)[2] /  심옹(心癰)
소목(蘇木) /  산후혈훈(産後血暈)산후오로불하(産後惡露不下)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소삼소음(小蔘蘇飮) /  산후천급(産後喘急)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배옹(背癰)오발옹저(五發癰疽)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  토혈(吐血)
자연동산(自然銅散) /  타박상(打撲傷)근골절상(筋骨折傷)
조위탕(調衛湯) /  자한(自汗)
지룡산(地龍散) /  어혈요통(瘀血腰痛)
청양탕(淸陽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통도산(通導散) /  손상어혈(損傷瘀血)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파혈산동탕(破血散疼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파혈소통탕(破血消痛湯)>동의보감((東醫寶鑑) /  낙상(落傷)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중설(重舌)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화어산(化瘀散) /  장창(杖瘡)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뇌(發腦)마목(麻木)발배(發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