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柴胡) / 시호

 익생양술에서 "시호"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시호(柴胡) / 시호"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9월
40~7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풀밭 성미 서늘하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ㆍ분주 1회사용량 뿌리 4~6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구리때ㆍ바디나물ㆍ왜당귀ㆍ참당귀
어긋나고 선형 또는 댓잎피침형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길이 10~30cm이고 밑 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줄기잎은 길이 4~10cm, 나비 5~1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털은 없으며 표면은 연한 녹색이고 평행맥이 뚜렷하다. 잎의 밑 부분은 가늘어지면서 줄기에 이르나 줄기를 감싸지는 않는다.
8~9월에 황색의 오판화가 피는데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좁쌀 만한 작은 꽃 5~10개가 겹산형 꽃차례로 달린다. 2~7개의 작은 꽃대에 각각 5~10개의 꽃이 달린다. 꽃차례받침과 더불어 긴 타원형 또는 선형의 작은 꽃차례받침이 있는데 꽃차례의 밑 부분에 꽃과 거의 길이가 같은 5개의 꽃차례받침 조각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안으로 굽는다. 수술도 5개이고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9~10월에 길이가 2~3mm인 타원형의 분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외대시호ㆍ북시호ㆍ멧미나리ㆍ묏미나리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매우 짧다. 가늘고 긴 줄기의 위쪽에서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포기 전체에 털이 없다. 말린 뿌리를 시호라 하며 약재로 사용하는데 사포닌과 지방유(脂肪油)가 들어 있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시호(柴胡) / 시호
라틴명 Bupleuri Radix
약재의 효능 발표(發表)  (표사(表邪)를 발산시키는 치료법의 일종임.)
화리(和裏 )  (리부(裏部) 즉, 몸 속의 기운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퇴열(退熱)  (열기를 제거하는 효능임)
승양(升陽)  (양기(陽氣)를 끌어올리는 효능임)
서간(舒肝)  (간기(肝氣)가 울결된 것을 흩뜨리는 효능임)
산울(散鬱)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개결(開結)  (뭉친 것을 푸는 효능임)
인위기상행(引胃氣上行)
표산(表散)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담(膽)
성미 고(苦) , 미한(微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주의사항 허인구토(虛人嘔吐), 음허화적(陰虛火積), 학질(瘧疾) 등의 증상이 있으면 모두 복용하지 말 것.
독성 Bupleuri Radix causes sedation when used in large doses 1). The use of alcohol, sedatives and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depressants in conjunction with Bupleuri Radix may cause synergistic sedative effects.
There is one report that a hot water extract of Bupleurum falcatum enhanced the mutagenic activity of Trp-p-1 with S9 mix Salmonella typhimurium 2).
Bupleurum falcatum should not be administered during pregnancy, nursing woman, and children, because, no data available.
Mild lassitude, sedation, and drowsiness have been reported as frequent side effects 1).
Lage doses have also been reported to decrease appetite and cause pronounced flatulence and abdominal distension. Three incidents of allergic reactions were reported in patients given intramuscular injections of the drug 1).

1) Chang HM, But PPH, eds.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vol. 2.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1987.
2) Niikawa M et al. Enhancement of the mutagenicity of TRP-P-1, TRP-P-2 and benzo[alpha]pyrene by Bupleuri radix extract.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90, 28: 2035-2039.
약재사용처방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  오심번열(五心煩熱)화울(火鬱)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가감시령탕(加減柴苓湯) /  근산(筋疝)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간비노울(肝脾怒鬱)월경불통(月經不通)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시호탕(加味柴胡湯) /  장역(瘴疫)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  허로(虛勞)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1] /  경계(驚悸)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가미익기탕(加味益氣湯) /  상한(傷寒)
가미전씨백출산(加味錢氏白朮散) /  불능식(不能食)소갈(消渴)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기허두통(氣虛頭痛)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온역(瘟疫)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1] /  비건(鼻乾)양명경병(陽明經病)안동(眼疼)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강활산(羌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풍랭치통(風冷齒痛)치아탈락(齒牙脫落)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장(風中臟)풍중부(風中腑)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  장학(瘴瘧)열학(熱瘧)한학(寒瘧)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건보환(健步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경효산(輕效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혈관동인(血灌瞳仁)예막(翳膜)
계지황금탕(桂枝黃芩湯) /  태양양명소양합병(太陽陽明少陽合病)
고진환(固眞丸) /  백대(白帶)제복냉통(臍腹冷痛)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복창(腹脹)
교가산(交加散)[1] /  상한(傷寒)감모(感冒)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구사탕(驅邪湯)[1] /  해학(痎瘧)
귀규탕(歸葵湯) /  유루(流淚)
금련소독음(芩連消毒飮) /  대두온(大頭瘟)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  대두온(大頭瘟)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노성고(露星膏) /  척감(脊疳)
단어산(團魚散) /  골증(骨蒸)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혈허두통(血虛頭痛)기궐두통(氣厥頭痛)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1] /  붕루(崩漏)
당귀탕(當歸湯) /  내장(內障)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예막(翳膜)
대산우원(大山芋元) /  비위허약(脾胃虛弱)노손(勞損)
대시호탕(大柴胡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도씨보중익기탕(陶氏補中益氣湯) /  상한(傷寒)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도씨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火湯) /  동계(動悸)
도씨시호백합탕(陶氏柴胡百合湯) /  상한백합병(傷寒百合病)
도씨충화탕(陶氏冲和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농이(膿耳)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맥전산(麥煎散) /  골증(骨蒸)
목단피탕(牡丹皮湯)[1]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상식(傷食)심하비만(心下痞滿)
반하좌경탕(半夏左經湯) /  각기(脚氣)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발운산(撥雲散) /  예막차정(藝膜遮睛)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  하초열(下焦熱)
백출제습탕(白朮除濕湯) /  중초열(中焦熱)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내장(內障)
보간산(補肝散)[2] /  원예(圓翳)
보간산(補肝散)[3] /  음허생예(陰虛生翳)
보경고진탕(補經固眞湯) /  백대(白帶)혈붕(血崩)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변혈(便血)육혈(衄血)요혈(尿血)토혈(吐血)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1] /  노권(勞倦)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2] /  노권(勞倦)
보진탕(保眞湯) /  조열(潮熱)골증(骨蒸)유정(遺精)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 /  낙상(落傷)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월경불통(月經不通)
사역산(四逆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사혈탕(瀉血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삼령호박탕(蔘苓琥珀湯) /  소변임력(小便淋瀝)경중양통(莖中痒痛)
삼양탕(三陽湯) /  삼양두통(三陽頭痛)
삼출탕(蔘朮湯) /  식후혼곤(食後昏困)비위허약(脾胃虛弱)
삼합탕(三合湯)[2] /  허로(虛勞)
삼호삼백탕(蔘胡三白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삼호작약탕(蔘胡芍藥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토혈(吐血)육혈(衄血)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생서산(生犀散) /  골증(骨蒸)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서점자탕(鼠粘子湯)[2] /  두출과밀(痘出過密)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풍온(風溫)역려(疫癘)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양독발반(陽毒發斑)반진(斑疹)
소시호탕(小柴胡湯) /  상한소양병(傷寒少陽病)
소아청심환(小兒淸心丸) /  경열(驚熱)
소요산(逍遙散) /  오심번열(五心煩熱)월경부조(月經不調)
소종탕(消腫湯) /  마도창(馬刀瘡)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후류(喉瘤)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면종(面腫)위풍(胃風)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승발이진탕(升發二陳湯) /  담울(痰鬱)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  오심번열(五心煩熱)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전광(癲狂)노기상간(怒氣傷肝)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2] /  노권(勞倦)내상(內傷)중기부족(中氣不足)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흉비통(胸痞痛)
시경탕(柴梗湯) /  지결(支結)
시령탕(柴苓湯) /  양증(陽症)소변자리(小便自利)
시전매련산(柴前梅連散) /  골증(骨蒸)
시제백출산(是齊白朮散) /  토혈(吐血)육혈(衄血)
시진탕(柴陳湯)[1] /  지결(支結)
시진탕(柴陳湯)[2] /  담학(痰馭)
시평탕(柴平湯) /  해학(痎瘧)
시함탕(柴陷湯) /  열실결흉(熱實結胸)
시향산(柴香散) /  징가(癥瘕)비괴(痞塊)
시호(柴胡)[1] /  담병(膽病)담단(膽癉)
시호(柴胡)[2]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시호(柴胡)[3] /  골절동번(骨節疼煩)노열(勞熱)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 /  상한소양병(傷寒少陽病)소양학(少陽瘧)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 /  소양학(少陽瘧)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1] /  상한동기(傷寒動氣)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2] /  소양학(少陽瘧)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시호기각탕(柴胡枳殼湯) /  임신상한(妊娠傷寒)
시호기길탕(柴胡枳桔湯) /  화수(火嗽)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1] /  삼음경온학(三陰經溫瘧)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발열(發熱)상한섬어(傷寒譫語)
시호음자(柴胡飮子) /  간실열(肝實熱)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시호지골피탕(柴胡地骨皮湯) /  구미(口糜)
시호지모탕(柴胡知母湯) /  장학(瘴瘧)열학(熱瘧)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  산후발열(産後發熱)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발저(發疽)
시호총이탕(柴胡聰耳湯) /  정이(聤耳)이롱(耳聾)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  마도창(馬刀瘡)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1] /  열입혈실(熱入血室)축혈(畜血)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산후오로불하(産後惡露不下)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상한양감(傷寒兩感)
신해탕(神解湯) /  두창발열(痘瘡發熱)
십미궁소산(十味芎蘇散) /  온역(瘟疫)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양독치자탕(陽毒梔子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여의단(如意丹) /  온역(瘟疫)노채(勞瘵)귀수(鬼祟)전광(癲狂)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오매탕(烏梅湯)[1] /  상한허번(傷寒虛煩)
온백원(溫白元) /  적취(積聚)황달(黃疸)징가(癥瘕)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1] /  구고(口苦)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2] /  부인음정(婦人陰挺)근산(筋疝)음균(陰菌)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용호탕(龍虎湯) /  열학(熱瘧)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내저(內疽)나력(瘰癧)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육화탕(六和湯)[2] /  구학(久瘧)
이장음(梨漿飮) /  조열(潮熱)
이황환(二黃丸) /  상식(傷食)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1] /  붕루(崩漏)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2] /  내상(內傷)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장벽(腸澼)하혈(下血)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  토혈(吐血)
인삼소요산(人蔘逍遙散) /  여로복(女勞復)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익기탕(人蔘益氣湯) /  마목(麻木)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인삼지골피산(人蔘地骨皮散) /  폐열(肺熱)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  무한(無汗)골증(骨蒸)
인삼청진환(人蔘淸鎭丸) /  화수(火嗽)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  상한황달(傷寒黃疸)
일보일발단(一補一發丹) /  구학(久瘧)
일청음(一淸飮) /  황달(黃疸)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혈소신로(血少神勞)신허(腎虛)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제습강활탕(除濕羌活湯) /  풍습(風濕)
제습건비탕(除濕健脾湯) /  구설(久泄)
조경탕(調經湯) /  축혈(畜血)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죽피소요산(竹皮逍遙散)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음양역(陰陽易)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한창(寒脹)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비적(脾積)오적(五積)
지골피산(地骨皮散)[1] /  혈열(血熱)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지골피산(地骨皮散)[3] /  허열(虛熱)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치루(痔瘻)항문양통(肛門痒痛)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척감(脊疳)슬통(膝痛)
천궁산(川芎散)[2] /  두목불청(頭目不淸)현훈(眩暈)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천마반하탕(天麻半夏湯) /  담훈(痰暈)
청간탕(淸肝湯) /  간허노화(肝虛怒火)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청골산(淸骨散) /  골증(骨蒸)오심번열(五心煩熱)노채(勞瘵)
청공고(淸空膏) /  습열두통(濕熱頭痛)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비음(淸脾飮) /  식학(食瘧)
청비탕(淸脾湯) /  식학(食瘧)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청열여성산(淸熱如聖散) /  설종(舌腫)
청조탕(淸燥湯) /  양각위연(兩脚痿軟)탄탄(癱瘓)
청총화담환(淸聰化痰丸) /  간화이롱(肝火耳聾)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청혼탕(淸魂湯) /  음랭(陰冷)음위(陰痿)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  내장(內障)
치시기황탕(梔豉枳黃湯) /  상한식복(傷寒食復)발열(發熱)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골증(骨蒸)징가(癥瘕)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허손(虛損)노상(勞傷)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  부골저(附骨疽)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  견통(肩痛)배통철심(背痛徹心)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  기역(氣逆)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퇴황산(退黃散) /  황달(黃疸)
파혈산동탕(破血散疼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파혈소통탕(破血消痛湯)>동의보감((東醫寶鑑) /  낙상(落傷)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포옹환(抱甕丸) /  귀태(鬼胎)혈고(血蠱)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타혈(唾血)육혈(衄血)토혈(吐血)
해울탕(解鬱湯) /  육혈(衄血)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  이롱(耳聾)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
호박산(琥珀散)[3] /  나력(瘰癧)결핵(結核)
화울탕(火鬱湯) /  오심번열(五心煩熱)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소갈(消渴)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노손(勞損)허로(虛勞)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중갈(中暍)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2] /  대열(大熱)번조(煩躁)
황룡탕(黃龍湯)[1] /  임신상한(妊娠傷寒)
황룡탕(黃龍湯)[2] /  임신상한(妊娠傷寒)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