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출(蓬朮) / 울금

 익생양술에서 "울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봉출(蓬朮) / 울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남부(주로 남부 해안과 섬 지방) 채취기간 겨울∼이듬해 봄
50∼15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서늘하며, 쓰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ㆍ분주 1회사용량 4∼6g
약효 뿌리줄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강황ㆍ봉출ㆍ아출ㆍ인도울금
뿌리에서 4∼8개의 잎이 두 방향으로 모여나와 긴 잎자루가 다발 모양을 이루면서 헛줄기[僞莖]를 형성한다. 잎의 모습은 마치 커다란 칸나 잎처럼 생겼는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삼각형이다. 표면은 녹색에다 분백색이 돌며 골이 패인 주맥과 함께 측맥이 많다.
8∼11월에 흰색 또는 엷은 노란색 꽃이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서 3~4개의 꽃턱잎에 싸여 길이 20cm 안팎의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이삭은 녹백색 또는 엷은 녹색이고 끝이 자주색을 띠는 꽃턱잎이 비늘처럼 겹쳐지며 그 안에 작은 꽃이 몇 개 달린다. 꽃처럼 보이는 것은 꽃턱잎이 포개져 둘러싸인 것이며 그 속에 숨은 것이 진짜 꽃이다.
열매
10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심황(深黃)ㆍ울금(蔚金)ㆍ을금(乙金)ㆍ걸금(乞金)ㆍ천을금(川乙金)ㆍ옥금(玉金)ㆍ왕금(王金)ㆍ울금초(鬱金草)ㆍ금모세(金母蛻)ㆍ황울(黃鬱)ㆍ마술(馬述)ㆍ황제족(黃帝足) 등 여러 이명과 별칭이 있다. 술과 함께 섞으면 누렇게 금처럼 된다 하여 울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한 말의 질병을 치료하므로 마술이라고 한다. 뿌리줄기는 비대하며 둥근 달걀꼴이고 끝에는 방추형의 덩이뿌리가 달려 있다. 표면에 바퀴 모양의 마디가 있으며 자른 단면은 선명한 황색이다. 방향성이 있다. 강황은 울금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거꾸로 울금을 강황(薑黃)이라 하고 강황을 한자로 都金ㆍ鬱金이라 하여 수입할 때 혼동하기 쉽다. 또 일본에서 흔히 팔리는 울금 상품의 포장을 보면 우콘ㆍ봄울금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것은 울금이 아니고 강황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울금과 강황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울금과 강황은 엄밀히 다른 유사종이다. 울금과 강황을 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을 <표>에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관상용ㆍ착색염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줄기를 울금 또는 심황이라 하고 식품의 착색제ㆍ향신료나 직물의 염료로 이용되며 약재로 쓰인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씹으면 침을 누렇게 물들이며 자극성이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몸의 울혈을 풀어 주고, 혈증에 효험이 있다.
봉출(蓬朮) / 울금 뿌리줄기
라틴명 Zedoariae Rhizoma
약재의 효능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통혈(通血)  (혈액이 정체되지 않고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소어(消瘀)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 것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신(苦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주의사항 임신부는 쓰지 말 것.
독성 When the agent is taken orally, occasional dizziness, nausea and vomiting, difficulty in breathing, burning sensation, palpitations, and fatigue may be reported. In severe cases, shock has been observed. The LD50 of crude extract in mice is 16.75 g/kg, and 316.5 mg/kg(I.p.) for curcumenol.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약재사용처방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복창(腹脹)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  유벽(乳癖)식징(食癥)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혈가(血瘕)월경불통(月經不通)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노학환(老瘧丸) /  해학(痎瘧)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대온중환(大溫中丸) /  곡달(穀疸)황종(黃腫)황반(黃胖)
대이향산(大異香散) /  기창(氣脹)곡창(穀脹)
대칠기탕(大七氣湯) /  육취(六聚)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오적(五積)심복창만(心腹脹滿)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기역(氣逆)심흉비통(心胸痞痛)
만령산(萬靈散) /  소변임력(小便淋瀝)어혈복통(瘀血腹痛)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적취(積聚)탄산(呑酸)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천급(喘急)창만(脹滿)담수(痰嗽)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1] /  기체흉비(氣滯胸痞)기통(氣痛)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기통(氣痛)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백배환(百杯丸) /  상주(傷酒)징벽(癥癖)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해학(痎瘧)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  십일학(十日瘧)삼일학(三日瘧)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적취(積聚)징벽(癥癖)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창만(脹滿)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삼릉전(三稜煎) /  기괴(氣塊)혈가(血瘕)주적(酒積)식적(食積)
삼릉전(三稜煎)[2] /  기괴(氣塊)혈가(血瘕)주적(酒積)식적(食積)
삼릉전원(三稜煎元)[1] /  육적(肉積)혈적(血積)혈고(血蠱)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방광병(膀胱病)한산(寒疝)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석영산(石英散) /  석가(石瘕)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소식환(消食丸) /  숙식(宿食)식적(食積)유적(乳積)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후류(喉瘤)
승홍원(勝紅元) /  주적(酒積)혈적(血積)
시향산(柴香散) /  비괴(痞塊)징가(癥瘕)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십장군환(十將軍丸) /  학모(瘧母)구학(久瘧)
십전단(十全丹) /  정해감(丁奚疳)무고감(無辜疳)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  적취(積聚)혈적(血積)충적(蟲積)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현훈(眩暈)조잡(嘈雜)
염통원(拈痛元) /  구종심통(九種心痛)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용천산(龍泉散) /  나력(瘰癧)
우선단(遇仙丹)[1] /  충적(蟲積)
유통산(愈痛散) /  졸심통(卒心痛)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육합탕(六合湯) /  혈폐(血閉)
음학환(陰瘧丸) /  야발음학(夜發陰瘧)해학(痎瘧)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 /  혈창(血脹)
입효산(立效散)[2] /  혈가(血瘕)
자하거환(紫河車丸) /  전시(傳尸)노채(勞瘵)
정비산(正脾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1] /  혈가(血瘕)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2] /  혈적(血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비적(脾積)오적(五積)
지장산(舐掌散)[2] /  영류(瘿瘤)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현벽(痃癖)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열격(噎膈)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축어탕(逐瘀湯) /  치(痔)
칠성환(七聖丸)[2] /  유식적체(乳食積滯)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골증(骨蒸)징가(癥瘕)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침사환(鍼砂丸) /  곡달(穀疸)주달(酒疸)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탕산환(蕩疝丸) /  기산(氣疝)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통경환(通經丸) /  혈가(血瘕)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오적(五積)
형봉전원(荊蓬煎元) /  적취(積聚)비괴(痞塊)
홍원자(紅圓子) /  식적(食積)주적(酒積)
화괴환(化塊丸) /  혈괴(血塊)비괴(痞塊)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희로환(晞露丸) /  징가(癥瘕)장담(腸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