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前胡) / 전호

 익생양술에서 "전호"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전호(前胡) / 전호"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봄∼가을
1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습지 성미 약간 차며, 쓰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3∼6g
약효 뿌리ㆍ열매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바디나물ㆍ흰바디나물ㆍ털전호
뿌리에서 나온 잎과 밑 부분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3개씩 2~3회 갈라지며 다시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에 톱니가 있고 뒷면 맥 위에 퍼진 털이 약간 나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비슷하지만 점점 작아져서 잎자루 밑이 잎집으로 된다.
5∼6월에 흰 꽃이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피는데 5~12개의 꽃이삭 가지가 있다. 작은 꽃차례받침은 5~12개이고 뒤로 젖혀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5개인 꽃잎 중에서 바깥쪽 꽃잎 1개가 특히 크다. 수술은 5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8∼9월에 댓잎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의 분과가 달려 익는데 검은 녹색으로 윤이 나며 밋밋하거나 돌기가 약간 있다.
특징 및 사용
생치나물이라고도 한다. 굵은 뿌리에서 줄기가 나와 가지가 갈라진다. 유사종으로 열매에 황색의 돌기가 있고 전체에 털이 많은 것을 털전호라고 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뿌리를 전호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전호(前胡) / 전호
라틴명 Peucedani Radix
약재의 효능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화담열(化痰熱)  (담(痰)으로 인한 열(熱)을 삭히는 효능임)
소숙식(消宿食)  (오랫동안 정체된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산풍사(散風邪)
통오장(通五臟)
창폐기(暢肺氣)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해표산풍(解表散風)  (풍사(風邪)를 인체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해표약(解表藥)을 이용하여 풍사(風邪)를 발산시키는 치료 방법임.)
강담하기(降痰下氣)  (담을 내리고 기운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작용부위 폐(肺)
성미 고신(苦辛) , 양(凉)
약전기재 중국약전
약재사용처방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  풍수(風嗽)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  오심번열(五心煩熱)화울(火鬱)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은진(癮疹)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온역(瘟疫)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교가산(交加散)[1] /  상한(傷寒)감모(感冒)
궁소산(芎蘇散)[1] /  임신상한(妊娠傷寒)
금불초산(金沸草散) /  담연옹성(痰涎壅盛)풍수(風嗽)
기각환(枳殼丸)[2] /  귀배(龜背)
단어산(團魚散) /  골증(骨蒸)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독활탕(獨活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마황행인음(麻黃杏仁飮) /  상한표증(傷寒表證)
만병원(萬病元) /  벽괴(癖塊)시주(尸注)학질(瘧疾)전간(癲癎)고독(蠱毒)황달(黃疸)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명(耳鳴)이롱(耳聾)
목향산(木香散)[5] /  두창설사(痘瘡泄瀉)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  주달(酒疸)
백합산(百合散) /  자수(子嗽)
별갑산(鱉甲散) /  상한괴증(傷寒壞症)
보허음(補虛飮) /  기훈(氣暈)담연옹성(痰涎壅盛)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사위탕(瀉胃湯)[1] /  순종(脣腫)순창(脣瘡)
삼소음(蔘蘇飮) /  상한해수(傷寒咳嗽)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상기천급(上氣喘急)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담천(痰喘)
소해산(消解散) /  후류(喉瘤)후균(喉菌)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시전매련산(柴前梅連散) /  골증(骨蒸)
시제백출산(是齊白朮散) /  토혈(吐血)육혈(衄血)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오음탕(五飮湯) /  일음(溢飮)벽음(癖飮)유음(留飮)
이장음(梨漿飮) /  조열(潮熱)
익기양신탕(益氣養神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전호(前胡) /  열담(熱痰)흉비(胸痞)
전호기각탕(前胡枳殼湯) /  두창담천(痘瘡痰喘)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 /  기담(氣痰)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죽여탕(竹茹湯) /  오조(惡阻)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창이산(蒼耳散)[3] /  아장선(鵝掌癬)
천마반하탕(天麻半夏湯) /  담훈(痰暈)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화울수(火鬱嗽)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