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모(貝母) / 중국패모

 익생양술에서 "중국패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패모(貝母) / 중국패모"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여름~가을
30~80cm 취급요령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이나 불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서늘하며, 쓰고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4~6g
약효 비늘줄기(알줄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패모류의 비늘줄기
2~3개씩 돌려나며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줄기 위쪽의 잎과 꽃턱잎은 끝이 더욱 길어지면서 바깥쪽으로 말려 덩굴손처럼 된다. 잎의 뒷면은 흰빛이 돈다.
4~5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1~4개가 아래를 향해 달려핀다. 꽃자루의 길이는 1~2cm이다. 꽃덮이 조각은 연한 황색이며 안쪽에 자줏빛 그물무늬가 있고 끝이 6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길이 2.5~3cm의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 부분에 선체(腺體)가 있다. 긴 타원형인 6개의 수술은 꽃덮이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7~8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짧은 육각형 모양이며 6개의 날개가 있다.
특징 및 사용
비늘줄기는 지름 1.5~3cm이고 다육질이며 하얀 비늘 조각 2개가 조개처럼 마주 붙어 둥근 모양을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란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비늘줄기를 패모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종독에 효험이 있다.
패모(貝母) / 중국패모
라틴명 Fritillariae Bulbus
약재의 효능 청열화담(淸熱化痰)  (사열(邪熱)이 폐에 쌓여 진액이 말라 생긴 열담(熱痰)을 치료하는 방법임.)
개울산결(開鬱散結)  (막힌 것을 열고 뭉친 것을 흩어지게 하는 효능임)
윤폐지해(潤肺止咳)  (폐(肺)를 적셔주고 해수(咳嗽)를 멎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심(心) , 폐(肺)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원색화한약도감 ,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가려륵환(訶黎勒丸)[2] /  울수(鬱嗽)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타혈(唾血)수혈(嗽血)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무자(無子)태동불안(胎動不安)
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  건망(健忘)정충(怔忡)황홀(恍惚)경계(驚悸)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  식적수(食積嗽)구수(久嗽)노수(勞嗽)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가미지패산(加味芷貝散) /  유옹(乳癰)
계명환(鷄鳴丸)[2] /  천수(喘嗽)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관동화산(款冬花散) /  풍수(風嗽)담연옹성(痰涎壅盛)
구고고(救苦膏) /  풍습산통(風濕痠痛)
구선산(九仙散) /  구수(久嗽)
귀곡단(鬼哭丹) /  해학(痎瘧)
귤소산(橘蘇散) /  신열유한(身熱有汗)한수(寒嗽)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납전산(蠟煎散) /  구천(久喘)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두옹(肚癰)
단어산(團魚散) /  골증(骨蒸)
당귀고(當歸膏) /  오로(五勞)허손(虛損)칠상(七傷)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대아교원(大阿膠元) /  노수(勞嗽)토혈(吐血)타혈(唾血)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반과환(半瓜丸) /  담수(痰嗽)
백합산(百合散) /  자수(子嗽)
보기생혈탕(補氣生血湯) /  장창(杖瘡)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불이음(不二飮) /  학질(瘧疾)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  옹저(癰疽)무명종독(無名腫毒)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  화천(火喘)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타혈(唾血)담수(痰嗽)
삼물백산(三物白散) /  열결흉(熱結胸)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옹저(癰疽)악창(惡瘡)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  무명종독(無名腫毒)유옹(乳癰)내저(內疽)발배(發背)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  조잡(嘈雜)
억담환(抑痰丸) /  울담(鬱痰)
연교산(連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영수고(寧嗽膏) /  노수(勞嗽)
옥액산(玉液散) /  화천(火喘)
옥화산(玉華散) /  화천(火喘)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육화탕(六和湯)[2] /  구학(久瘧)
윤폐환(潤肺丸)[2] /  건수(乾嗽)노수(勞嗽)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  음허천급(陰虛喘急)담수(痰嗽)
이모산(二母散)[1] /  담천(痰喘)해수(咳嗽)
이모산(二母散)[2] /  산후천급(産後喘急)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이선산(二仙散)[3] /  옹저작통(癰疽作痛)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인삼관화산(人蔘款花散) /  구수(久嗽)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인삼윤폐산(人蔘潤肺散) /  풍한천(風寒喘)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담수(痰嗽)실음(失音)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자완용탕(紫菀茸湯) /  천급(喘急)해수(咳嗽)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해혈(咳血)허로(虛勞)토혈(吐血)
자하거환(紫河車丸) /  노채(勞瘵)전시(傳尸)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정력환(葶藶丸)[2] /  면목부종(面目浮腫)천촉(喘促)
지패산(芷貝散) /  유방결핵(乳房結核)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징청음(澄淸飮) /  담수(痰嗽)
천화산(天花散)[2] /  나력(瘰癧)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화울수(火鬱嗽)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청금환(靑金丸)[2] /  식적수(食積嗽)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청백산(淸白散) /  백대(白帶)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후옹(喉癰)음허화동(陰虛火動)
청폐탕(淸肺湯)[2] /  담수(痰嗽)구수(久嗽)
청해탕(淸咳湯) /  해혈(咳血)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결(痰結)담궐(痰厥)
청화환(淸化丸) /  울수(鬱嗽)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치자수일방(治子嗽一方) /  자수(子嗽)
침수고(沈水膏) /  발배(發背)옹저(癰疽)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  옹저허증(癰疽虛證)
태평환(太平丸) /  허로(虛勞)폐위(肺痿)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유연(流涎)구안와사(口眼喎斜)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패모(貝母)[1] /  흉격담기(胸膈痰氣)
패모(貝母)[3] /  악창(惡瘡)
패모고(貝母膏) /  악창(惡瘡)
패모산(貝母散)[1] /  화수(火嗽)
패모산(貝母散)[2] /  열수(熱嗽)담천(痰喘)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함고환(含膏丸) /  천수(喘嗽)
해대환(海帶丸) /  담핵(痰核)기영(氣癭)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마도창(馬刀瘡)기영(氣癭)나력(瘰癧)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효천(哮喘)
행소탕(杏蘇湯) /  한수(寒嗽)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현삼패모탕(玄蔘貝母湯) /  이양(耳痒)
환혼산(還魂散) /  정창(釘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