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령(馬兜鈴) / 쥐방울덩굴

 익생양술에서 "쥐방울덩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마두령(馬兜鈴) / 쥐방울덩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열매 성숙기)
길이 1~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들, 숲 가장자리 성미 차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3~6g
약효 성숙한 열매ㆍ잎줄기ㆍ뿌리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4~10cm, 나비 3.5~8cm의 세모진 심장형으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1~7cm로 긴 편이다. 표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7~8월에 녹색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달리면서 여러 개가 함께 나온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긴 통 모양이며 녹자색이고 안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의 밑 부분이 둥글게 커지고 위쪽은 좁아졌다가 나팔처럼 넓어지면서 한쪽이 길게 뾰족해진다. 그 속에 수술과 암술이 각각 6개씩 있는데 암술대는 합쳐져서 1개처럼 보인다. 씨방은 하위이고 가늘며 길다.
열매
10월에 지름 3~5cm인 둥근 삭과가 달려 익는데 밑 부분이 6개로 갈라져서 꽃자루의 가는 실에 매달려 낙하산 모양을 이룬다. 열매 속에 씨가 많이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마도령ㆍ마두령ㆍ쥐방울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초목을 감아 올라간다. 줄기 전체에 털이 없으며 어릴 때는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지만 자라면서 녹색으로 되고 약간 분백색이 돈다. 덩굴줄기와 잎에서 냄새가 난다. 열매를 마도령, 뿌리를 청목향(靑木香), 줄기잎을 천선등(天仙藤)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마두령(馬兜鈴) / 쥐방울덩굴 열매
라틴명 Aristolochiae Fructus
약재의 효능 청폐(淸肺)  (열기에 의해 손상된 폐기를 맑게 식히는 효능임)
강기(降氣)  (기(氣)의 상역(上逆)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기(氣)를 내려주는 것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이인(利咽)  (인후(咽喉)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청열강기(淸熱降氣)  (열기를 식히고 위로 치솟는 기운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폐(肺)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폐허협한(肺虛挾寒), 천수실음자(喘嗽失音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Not to be used while nursing 2). Aristolochic acid is both carcinogenic and nephrotoxic, the plants containing it are not recommended for long term use. LD50; 56-203 mg/kg or 38-83 mg/kg (I.v.) 3). Coma, dilatation of pupil 4). Renal function failure 5).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6,7).

1) Tang, W. and G. Eisenbrand.,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New York; Spring-Verlag, 1992.
2) List, P.H. and L. Hoerhammer,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7 vols, New York; Springer-Verlag, 1973-1979.
3) Mengs, U., Archives of Toxicology, 59, 328, 1987.
4)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4, 1984.
5)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9, 1984.
6)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7)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계명환(鷄鳴丸)[1] /  해수(咳嗽)천촉(喘促)
두령환(兜鈴丸) /  효천(哮喘)
마두령(馬兜鈴)[1] /  폐허천급(肺虛喘急)
마두령(馬兜鈴)[2] /  해수(咳嗽)천촉(喘促)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마두령환(馬兜鈴丸) /  구수(久嗽)
보폐산(補肺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보화탕(保和湯) /  노수(勞嗽)허로(虛勞)폐위(肺痿)
옥화산(玉華散) /  화천(火喘)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백탁(白濁)유정(遺精)적백대하(赤白帶下)
행교음(杏膠飮) /  효수(哮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0] /  혈수(血嗽)효천(哮喘)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1] /  폭수(暴嗽)효천(哮喘)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2] /  산후해수(産後咳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3] /  기수(氣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4] /  열수(熱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5] /  효수(哮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6] /  신수(腎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 /  효천(哮喘)심수(心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2] /  간수(肝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3] /  비수(脾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4] /  위해(胃咳)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5] /  담수(膽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6] /  폐수(肺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7] /  격수(膈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8] /  노수(勞嗽)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9] /  냉수(冷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