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인(柏子仁) / 측백나무

 익생양술에서 "측백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자인(柏子仁) / 측백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25m 정도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잎은 삶거나 술에 적셔 그늘에 말린다.
생지 울타리, 정원 등에 식재 성미 서늘하며, 맵고 약간 쓰다.
분류 상록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잎ㆍ열매 8~10g
약효 잎ㆍ열매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작은 비늘 모양의 뾰족한 잎들이 다닥다닥 붙어 마주나는데 좌우의 잎과 가운데 달린 잎의 크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세 잎의 윤곽이 W자를 이룬다. 작은 비늘잎들로 구성된 잎이 모서리 모양이어서 작은 가지와 잎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곁잎은 달걀꼴을 이루며 청록색 바탕에 흰 점이 약간 있다.
4월에 암수한그루에서 단성화가 핀다. 수꽃은 지난해에 돋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리는데 10개의 비늘 조각으로 구성되고 각각 2~4개씩의 꽃밥이 있다. 연한 자갈색인 암꽃은 공처럼 둥글며 8개의 실편(實片)으로 구성되고 꽃마다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
9~10월에 달걀꼴 또는 둥근 달걀 모양의 구과가 달려 청록색에서 자갈색으로 익어 가는데 8개의 실편이 교대로 마주나고 첫째 1쌍에는 씨가 없다.
특징 및 사용
측백ㆍ측백목ㆍ강백(姜栢)이라고도 한다. 가지가 수직 방향으로 벌어져 발달하므로 측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위쪽에서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이 불규칙하게 퍼진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많은데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씨를 백자인(柏子仁), 어린가지를 측백엽(側柏葉)이라 한다. 관상용ㆍ울타리ㆍ약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생울타리로 적합하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국화ㆍ대황ㆍ밀가루 음식ㆍ소리쟁이ㆍ참소리쟁이를 금한다.
백자인(柏子仁) / 측백나무 씨
라틴명 Thujae Semen (Biotae Semen)
약재의 효능 양심(養心)  (심혈(心血)이 허(虛)하여 두근거림, 불면증, 건망증 등이 나타날 때 쓰는 방법임.)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윤장(潤腸)  (장(腸)을 적셔주는 효능임)
통변(通便)  (변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지한(止汗)  (손등의 가운뎃손가락과 무명지(無名指)의 사이로, 지골(指骨)과 중수골(中手骨)의 접합처에서 위로 1치[寸] 6푼[分]이 되는 곳에 위치하며 땀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동씨기혈(董氏奇穴)임.)
양심윤신(養心潤腎)  (심(心)과 신(腎)에 음액(陰液)을 공급하는 효능임)
조비자간(助脾滋肝)  (비(脾)를 도와주고 간(肝)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윤피부(潤皮膚)  (피부(皮膚)를 적셔주는 효능임)
총이(聰耳)  (귀가 잘 들리지 않을때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심(心)
성미 감(甘)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금련환(金蓮丸) /  소변적탁(小便赤濁)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대아교원(大阿膠元) /  노수(勞嗽)토혈(吐血)타혈(唾血)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반룡단(斑龍丹) /  허로(虛勞)
백자인(栢子仁)[1] /  신허(腎虛)
백자인(栢子仁)[2] /  방광허한(膀胱虛寒)
백자인산(柏子仁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백자인환(柏子仁丸) /  노심월폐(勞心月閉)
보간산(補肝散)[2] /  원예(圓翳)
보간산(補肝散)[3] /  음허생예(陰虛生翳)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삼성고(三聖膏)[1] /  수발황락(鬚髮黃落)
상단(上丹) /  음위(陰痿)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양심탕(養心湯) /  경계(驚悸)소수(少睡)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  경계(驚悸)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오인환(五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전간(癲癎)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영탕(益榮湯) /  정충(怔忡)황홀(恍惚)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  산후대변비결(産後大便秘結)
장원환(壯元丸) /  정충(怔忡)건망(健忘)
진주모환(眞珠母丸) /  허번불수(虛煩不睡)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정충(怔忡)경계(驚悸)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