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사(澤瀉) / 택사

 익생양술에서 "택사"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택사(澤瀉) / 택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월
40~13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연못가, 습지, 무논, 논두렁, 밭 성미 차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8~10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줄기에서 모여나와 비스듬히 퍼지며 잎자루가 서로 감싼다. 잎몸은 길이 10~30cm, 나비 1~4cm의 넓은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5~7개의 맥이 평행으로 달린다. 잎자루의 길이는 15~20cm이다.
7~8월에 흰 꽃이 꽃줄기에 바퀴 모양으로 돌려나와 달려 핀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 길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 꽃이 돌려 붙지만 전체적으로는 원추 꽃차례를 이룬다. 꽃턱잎은 녹색이다. 꽃받침 조각은 3개이며 녹색이고 맥이 있다. 꽃잎도 3개이고 흰색인데 밑 부분은 연한 황색이다. 수술은 6개, 암술은 여러 개이며 바퀴 모양으로 늘어선다.
열매
9~10월에 편평한 거꿀달갈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뒷면에 1개의 깊은 골이 있으며 바퀴 모양으로 늘어선다.
특징 및 사용
쇠태나물이라고도 한다. 뿌리줄기가 짧아 덩이뿌리를 형성하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의 위쪽에서 3~4개의 가지가 돌려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줄기를 택사라고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택사(澤瀉) / 질경이택사
라틴명 Alismatis Rhizoma
약재의 효능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청습열(淸濕熱)  (습열의 사기가 침입하였을때 열기를 식히면서 소변을 통해 습사를 빼내는 효능임)
양오장(養五臟)  (오장(五臟)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효능임)
통소장(通小腸)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사방광화(瀉膀胱火)  (방광(膀胱)에 화기(火氣)가 왕성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축삼초수(逐三焦水)  (삼초에 차있는 수기(水氣)를 빼내는 효능임)
보부인혈해(補婦人血海)  (부인의 충맥(衝脈)을 보하는 효능임)
거포중유구(去胞中留垢)  (방광속에 나쁜 것이 머무른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총이(聰耳)  (귀가 잘 들리지 않을때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열색(悅色)  (피부의 색깔을 윤택하고 생기있게 하는 효능임)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영인유자(令人有子)  (부인을 임신시키게 한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작용부위 방광(膀胱) , 신(腎)
성미 감(甘) , 한(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목허불명(目虛不明). 신허정활자(腎虛精滑者)는 기함(忌之).
독성 Prolonged use may cause gastrointestinal irritation 1). Renal and hepatotoxicity are associated with doses 20 to 40 times effective clinical dose, administered to rats for 90 days 2).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Chang, H.M.and P. P. H. But.,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World Scientific, 1986.
약재사용처방 가감시령탕(加減柴苓湯) /  근산(筋疝)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감유령탕(加減薷苓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위심통(胃心痛)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수종(水腫)신허부종(腎虛浮腫)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건보환(健步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  복서(伏暑)
계령감로음(桂苓甘露飮)[1] /  서설(暑泄)
계령감로음(桂苓甘露飮)[2] /  서열번갈(暑熱煩渴)
계령백출산(桂苓白朮散) /  중서(中暑)곽란(霍亂)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경계(驚悸)정충(怔忡)심허(心虛)
고진음자(固眞飮子) /  오심번열(五心煩熱)음양구허(陰陽俱虛)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복창(腹脹)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기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상식(傷食)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痔瘻)항문양통(肛門痒痛)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  임신복통(妊娠腹痛)임신설사(妊娠泄瀉)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2] /  자리(子痢)
대강활탕(大羌活湯)[1] /  역절풍(歷節風)
대귤피탕(大橘皮湯)[2] /  수종(水腫)심복창만(心腹脹滿)
도기제조탕(導氣除燥湯) /  소변불통(小便不通)
도체통경탕(導滯通經湯) /  수종(水腫)
독활탕(獨活湯)[2] /  노역요통(勞役腰痛)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병사령산(萬病四苓散) /  화설(火泄)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안화(眼花)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목향탕(木香湯) /  냉림(冷淋)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오로(五勞)허로(虛勞)칠상(七傷)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백출부자탕(白朮附子湯)[2] /  한중(寒中)
백출제습탕(白朮除濕湯) /  중초열(中焦熱)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복령탕(茯苓湯)[3] /  자종(子腫)
복령호박산(茯苓琥珀散) /  소변불리(小便不利)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내장(內障)청맹(靑盲)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분소탕(分消湯) /  창만(脹滿)중만(中滿)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사령산(四令散) /  화설(火泄)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  주상(酒傷)
삼령호박탕(蔘苓琥珀湯) /  소변임력(小便淋瀝)경중양통(莖中痒痛)
삼습탕(渗濕湯)[3] /  습증(濕證)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소갈(消渴)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오발옹저(五發癰疽)배옹(背癰)내저(內疽)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시령탕(柴苓湯) /  소변자리(小便自利)양증(陽症)
신기환(腎氣丸) /  신허(腎虛)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신조산(神助散) /  수종(水腫)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쌍해산(雙解散)[2] /  변옹(便癰)
양유방(釀乳方)[2] /  태열(胎熱)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영출탕(苓朮湯)[2] /  습온(濕溫)
오령산(五苓散)[1] /  상한번갈(傷寒煩渴)
오령산(五苓散)[2] /  하초열(下焦熱)
오부통기탕(烏附通氣湯) /  산통(疝痛)
오음탕(五飮湯) /  벽음(癖飮)일음(溢飮)유음(留飮)
온신탕(溫腎湯) /  포비(胞痺)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2] /  근산(筋疝)음균(陰菌)부인음정(婦人陰挺)
위령탕(胃苓湯)[1] /  습설(濕泄)
위령탕(胃苓湯)[2]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위생탕(衛生湯)[2] /  습설(濕泄)
유령탕(薷苓湯) /  서설(暑泄)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신허(腎虛)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  신음허(腎陰虛)
육종용환(肉蓯蓉丸) /  백음(白淫)
이열탕(移熱湯) /  구창(口瘡)구미(口糜)
이향황련산(二香黃連散) /  곽란(霍亂)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 /  노림(勞淋)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인삼화영단(人蔘化癭丹) /  영류(瘿瘤)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인진오령산(茵蔯五苓散) /  습열황달(濕熱黃疸)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해혈(咳血)허로(虛勞)토혈(吐血)
저령탕(猪苓湯)[1] /  열결(熱結)소변불통(小便不通)
저령탕(猪苓湯)[2]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적소두탕(赤小豆湯) /  수종(水腫)창개(瘡疥)
정력목향산(葶藶木香散) /  수종(水腫)복창(腹脹)
정력환(葶藶丸)[1] /  용수(涌水)
제림통치약일방(諸淋痛治藥一方) /  임(淋)
제습건비탕(除濕健脾湯) /  구설(久泄)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중만(中滿)열창(熱脹)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오적(五積)간적(肝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오적(五積)신적(腎積)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지갈탕(止渴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진교당귀탕(秦艽當歸湯) /  항문양통(肛門痒痛)치루(痔瘻)
진교백출환(秦艽白朮丸) /  항문양통(肛門痒痛)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  장치(腸痔)
진사오령산(辰砂五苓散) /  상한섬어(傷寒譫語)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척감(脊疳)슬통(膝痛)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을환(天乙丸) /  단독(丹毒)경풍(驚風)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청조탕(淸燥湯) /  양각위연(兩脚痿軟)탄탄(癱瘓)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청혼탕(淸魂湯) /  음위(陰痿)음랭(陰冷)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타혈(唾血)객혈(喀血)토혈(吐血)
춘택탕(春澤湯) /  서열번갈(暑熱煩渴)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치경중양통일방(治莖中痒痛一方) /  경중통(莖中痛)
치오림일방(治五淋一方) /  오림(五淋)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침향호박환(沈香琥珀丸) /  수종(水腫)
탈명단(奪命丹)[1] /  분돈산(奔豚疝)
택사(澤瀉)[3] /  오림(五淋)
택사(澤瀉)[5] /  방광정수(膀胱停水)
택사산(澤瀉散) /  수종(水腫)
택사탕(澤瀉湯)[1] /  담훈(痰暈)
택사탕(澤瀉湯)[2] /  자림(子淋)
통령산(通笭散)[1] /  서설(暑泄)
통령산(通笭散)[2] /  서열번갈(暑熱煩渴)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팔미환(八味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해서삼백산(解暑三白散) /  중서(中暑)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  열담(熱痰)
황금탕(黃芩湯)[3] /  상초열(上焦熱)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뇌(發腦)마목(麻木)발배(發背)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