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새

 익생양술에서 "속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목적(木賊)/속새"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제주도, 강원도 채취기간 여름~가을
30~6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고산 지대의 습한 그늘 성미 평온하며, 달고 쓰다.
분류 상록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 1회사용량 온포기 4~6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퇴화한 비늘 같은 잎이 서로 붙어 마디 부분을 완전히 둘러싸 짧은 막질의 잎집처럼 되고 잎집에서 톱니 모양으로 생긴 것이 잎인데 10~18개씩 각 능선과 교대로 달린다. 잎집의 밑 부분과 톱니는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띤다.
포자
짧은 타원형의 포자주머니 이삭이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는데 원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처음에는 녹색을 띠는 갈색이다가 황색으로 변한다.
목적(木賊) / 속새
라틴명 Equiseti Herba
약재의 효능 소풍(疏風)
산열(散熱)  (열을 흩어서 없어지게 하는 것임.)
해기(解肌)  (기표(肌表)의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것인데, 외감증의 초기에 발한(發汗)시키는 치법.)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퇴예(退翳)  (예막(翳膜)을 치료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익간담(益肝膽)  (간담(肝膽)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소적괴(消積塊)  (적취(積聚)나 종괴(腫塊)를 제거하는 효능임)
퇴예발한(退翳發汗)  (눈에 막이 낀 듯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제거하고 땀을 내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담(膽) , 폐(肺)
성미 감고(甘苦)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많이 복용하면 간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음
독성 A narcotic hallucinogen 1).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2).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3,4).
1) Emboden, W.A., Jr., Narcotic Plants, Macmillan, New York, 168, 1972.
2)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강국산(羌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수명(羞明)
결명산(決明散) /  안목적종(眼目赤腫)예막(翳膜)
관음몽수환(觀音夢授丸) /  예(翳)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영풍유루(迎風流淚)안목혼암(眼目昏暗)
국화산(菊花散)[1] /  예막(翳膜)안목적종(眼目赤腫)참통(磣痛)
궁귀환(芎歸丸) /  장독(臟毒)장풍(腸風)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예막(翳膜)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유루(流淚)
목적(木賊)[1] /  예막(翳膜)
목적(木賊)[2] /  탈항(脫肛)장풍(腸風)혈치(血痔)
목적(木賊)[3] /  무한(無汗)
목적산(木賊散) /  냉루(冷淚)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내장(內障)
백강잠산(白殭蠶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내장(內障)
석결명산(石決明散)[1] /  해정(蟹睛)선라풍(旋螺風)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난현풍(爛弦風)도첩권모(倒睫拳毛)내장(內障)외장(外障)
선화산(蟬花散)[1] /  안목적종(眼目赤腫)유루(流淚)예막(翳膜)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외장(外障)예막(翳膜)
오수중명환(五秀重明丸) /  예막차정(藝膜遮睛)목은삽(目隱澁)
지황산(地黃散)[2] /  백막차정(白膜遮睛)목적종통(目赤腫痛)적예(赤翳)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창출산(蒼朮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축사산(縮砂散) /  탈항(脫肛)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내장(內障)산예(散翳)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