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처방: 울금환(鬱金丸)

  처방구성
3 냥    
7 냥     <선두(蟬)>
명반(明礬) 3 냥, 울금(鬱金) 7 냥
처방효능 : 소간이기(疏肝理氣), 통규개폐(通竅開閉)
제재법 : 말(末), 희호환(稀糊丸), 오자대(梧子大)
용법 : 1회 50환, 온수 복용
참고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원(元)
  처방의 질병효능
정신이상이 생긴 병증. 전(癲)은 일종의 우울 상태, 광(狂)은 흥분 상태임. 전신의 기혈이 허하거나 기울(氣鬱), 담화(痰火), 심화(心火) 등으로 생김. 전은 음증(陰證)·허증(虛證)에 속하고, 광은 양증(陽證)·실증(實證)에 속함. 전증이 오래되면 몰렸던 담이 화(火)로 변해 광증이 될 수 있고, 광증이 오래 경과하면 전증으로 이행됨. 대개 전증과 광증이 함께 나타남. 전은 담기(痰氣)가 울결(鬱結)하거나, 또는 심비(心脾)가 모두 허해서 발생함. 광증은 양기(陽氣)가 지나치게 강하고 담화(痰火)가 심(心)에 작용해서 생김. 전은 표정이 냉담하고 멍청하며, 말이 없거나 말에 두서가 없고, 배가 고픈 지를 모르며, 심하면 몸이 뻣뻣해지며 졸도하여 직시(直視)함. 광증은 떠들고 옷을 벗으며 사람을 때리거나 욕하고 노래하며 웃고 화내는 등 증상이 나타남.
  동일효능처방
반천하수(半天河水)[2]  / 이기해울(理氣解鬱)
삼선산(三仙散)  / 소간식풍(疏肝熄風), 용토담연(涌吐痰涎)
삼성산(三聖散)[1]  / 이기해울(理氣解鬱), 화담개규(化痰開竅)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소간해울(疏肝解鬱), 화담개규(化痰開竅)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 청심사화(淸心瀉火), 화혈통락(和血通絡)
여의단(如意丹)  / 제습청온(除濕淸瘟), 척담통규(滌痰通竅)
엽씨웅주환(葉氏雄朱丸)  / 식풍정경(熄風定痙)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이기해울(理氣解鬱), 활담개규(豁痰開竅)
우황(牛黃)[1]  / 청신개규(淸心開竅), 활담정경(豁痰定驚)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개규성신(開竅醒神), 청심사화(淸心瀉火)
일취고(一醉膏)  / 이기해울(理氣解鬱), 화담개규(化痰開竅)
자하거(紫河車)  / 양영혈익정기(養營血益精氣)
작소(鵲巢)  / 개규화담(開竅化痰), 양심벽사(養心辟邪)
진사산(辰砂散)  / 사화공적(瀉火攻積), 화담개규(化痰開竅)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 이기해울(理氣解鬱), 척담개규(滌痰開竅)
진심단(鎭心丹)[2]  / 진심안신(鎭心安神)
천문동(天門冬)[2]  / 양음영심(養陰寧心)
철분산(鐵粉散)  / 거풍화담(祛風化痰), 진심안신(鎭心安神)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 벽예화탁(辟穢化濁), 양심안신(養心安神)
통설산(通泄散)  / 용토풍담(涌吐風痰)
황단(黃丹)[1]  / 진간식풍(鎭肝熄風), 진경안신(鎭驚安神)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  / 이기해울(理氣解鬱), 청심사화(淸心瀉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