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지황(乾地黃) 1 냥, 검인(芡仁) 1 냥, 구기자(枸杞子) 2 냥, 당귀(當歸) 1 냥, 맥문동(麥門冬) 1 냥, 백복령(白茯苓) 1 냥, 백자인(柏子仁) 1 냥, 백작약(白芍藥) 1 냥, 백출(白朮) 2 냥, 복신(茯神) 3 냥, 산조인(酸棗仁) 2 냥, 신국(神麴) 2 냥, 의이인(薏苡仁) 3 냥, 인삼(人蔘) 1 냥, 진피(陳皮) 1 냥, 축사(縮砂) 1 냥
처방효능 : 익기보혈(益氣補血)
제재법 : 말(末), 숙수4잔(熟水4盞), 연밀4냥(煉蜜4兩), 산약말호화환(山藥末糊和丸), 오자대(梧子大)
용법 : 1회 50∼70환, 미음 복용
참고 : 의학입문(醫學入門)
/ 명(明)
노겁(勞怯). 허손노상(虛損勞傷)의 약칭. 정기와 기혈이 허손된 병증. 선천적 기혈부족, 외상(外傷), 주색·칠정내상, 음식, 노권, 기욕무절(嗜欲無節)로 생김. 술은 폐를 손상시켜 습열(濕熱)이 훈증되어 폐음(肺陰)이 뜨거워짐. 색(色)은 신(腎)을 손상시켜 정실(精室)이 비어 상화(相火)가 제어되지 않음. 사려는 심(心)을 손상시켜 혈이 모손(耗損)되어 쉽게 상염(上炎)함. 노권(勞倦)은 비(脾)를 손상시켜 열이 생겨 진음(眞陰)을 없앰. 분노는 간을 손상시켜 노울(怒鬱)하면 간화(肝火)가 치성하여 작혈(灼血)하므로 크게 노하면 간화가 상승하여 토혈(吐血)함. 입맛이 없고, 우울하고, 유정(遺精)과 몽설(夢泄)이 있고, 허리·등·옆구리와 근육·뼈가 아프고, 조열(潮熱)이 나고,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이 있고, 기침하며 가래가 나옴.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 익기보혈(益氣補血)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고신삽정(固腎澁精)
당귀(當歸)[4]
/ 익기보혈(益氣補血)
대건중탕(大建中湯)
/ 온중보허(溫中補虛), 완급지통(緩急止痛)
모려(牡蠣)[6]
/ 보허손(補虛損), 청이열(淸裏熱)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건비보신(健脾補腎), 자음부양(滋陰扶陽)
반룡단(斑龍丹)
/ 온보원양(溫補元陽)
백봉고(白鳳膏)
/ 보수생진(補髓生津), 양음윤폐(養陰潤肺)
별갑(鱉甲)[4]
/ 양음청폐(養陰淸肺)
보수고(補髓膏)
/ 보정진수(補精塡髓)
보정고(補精膏)
/ 익기혈보정수(益氣血補精髓)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자보진원(滋補眞元), 장양자신(壯陽滋腎)
보화탕(保和湯)
/ 강허화청담연(降虛火淸痰涎)
삼합탕(三合湯)[2]
/ 익기양혈(益氣養血)
서련환(瑞蓮丸)[2]
/ 자신화영(滋腎和營), 자음양심(滋陰養心)
선령비(仙靈脾)[2]
/ 온신조양(溫腎助陽)
소건중탕(小建中湯)[2]
/ 온중보허(溫中補虛)
소화환(消化丸)
/ 강허화(降虛火), 청담연(淸痰涎)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익기윤폐(益氣潤肺)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 익신양혈(益腎養血), 자음강화(滋陰降火)
십회산(十灰散)[2]
/ 양혈수렴(凉血收斂)
연실(蓮實)[3]
/ 건비양심(健脾養心)
오보원(五補元)
/ 대보기혈(大補氣血)
오출환(烏朮丸)
/ 자보비신(滋補脾腎)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보신장양(補腎壯陽)
위생탕(衛生湯)[3]
/ 청심윤폐(淸心潤肺), 청열양음(淸熱養陰)
윤폐고(潤肺膏)[1]
/ 강허화청담연(降虛火淸痰涎)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 익신양혈(益腎養血)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자음익정(滋陰益精)
인포의(人胞衣)
/ 보익진원(補益眞元), 화담윤폐(化痰潤肺)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자음보신(滋陰補腎)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자음보허(滋陰補虛)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자음강화섭혈(滋陰降火攝血)
자혈탕(滋血湯)
/ 자영양혈(滋營養血)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자음양혈(滋陰養血)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보신장양(補腎壯陽)
천지전(天地煎)
/ 양혈윤조(養血潤燥), 자음산화(滋陰散火)
태평환(太平丸)
/ 자음윤폐(滋陰潤肺)
토사자(菟絲子)[5]
/ 익신양혈(益腎養血)
하수오(何首烏)[8]
/ 익기보혈(益氣補血), 자음강화(滋陰降火)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보기자음(補氣滋陰), 양음퇴열(養陰退熱)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자음강화(滋陰降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