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처방: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

  처방구성
1.5 전    
3 전    
2 전    
3 전    
감초(甘草) 1.5 전, 방기(防己) 3 전, 백출(白朮) 2 전, 황기(黃芪) 3 전
처방효능 : 소풍이수(疏風利水)
제재법 : 생강(生薑) 3, 대조(大棗) 2, 수전(水煎)
용법 : 생강 3·대조 2, 달여 먹음
참고 : 의학정전(醫學正傳)  / 명(明)
  처방의 질병효능
(1) 풍과 습이 결합해 일어나는 병증. 주리(腠理)가 성글어 원기(元氣)를 간직하지 못한 데에 비를 맞거나, 낮고 습한 곳에 오래 앉아 있었거나, 물을 너무 많이 마셨거나, 땀이 난 채 찬 바람을 쐬어 태양경(太陽經)이 풍사(風邪)를 감수하고 습사(濕邪)와 상박(相搏)하여 발생함. 상한(傷寒)과 비슷한데 골절이 쑤시고 아파서 펴고 굽히지 못하고, 땀이 나서 몸이 차고, 맥이 침미(沈微)하고, 호흡이 짧고, 소변이 맑고 잘 나오지 않으며, 구갈(口渴)이 나고, 어지러우며, 번열(煩熱)이 있기도 함. (2) 풍사(風邪)와 습사(濕邪).
  동일효능처방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  / 소풍온경산한(疏風溫經散寒)
강부탕(羌附湯)  / 소풍이습(疏風利濕)
고본(藁本)[4]  / 거풍이습(祛風利濕)
상지다(桑枝茶)[5]  / 소풍이습(疏風利濕)
옥설탕(沃雪湯)[1]  / 소풍거습(疏風祛濕)
제습강활탕(除濕羌活湯)  / 건비제습(健脾除濕), 소풍통락(疏風通絡)
출부탕(朮附湯)[3]  / 소풍이습(疏風利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