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양기부족(陽氣不足)

양기부족(陽氣不足)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50 건
잔가지나 뿌리 6~8g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개월 정도 공복에 날것으로 먹는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회 1개월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무, 오이풀, 파를 금한다.
온포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나 씨 12~1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껍질 벗긴 열매 10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20일 이상 날것으로 먹는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소변부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15~20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상표초(뽕나무에 붙은 사마귀의 알둥지)를 쪄서 말린 뒤 산제로 하여 가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물에 타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상표초 가루에 습기가 차면 독성이 생기므로 주의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를 빼고 말린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방기를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양기가 강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5~6g 또는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실새삼도 같은 효험이 있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당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 껍질, 현삼을 금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환제 또는 고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덩이뿌리(백하수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25~30g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강치
통째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쪄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끼니때마다 먹는다. 통풍이 있거나 요산 대사가 좋지 않거나 설사를 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옻나무 껍질을 닭에 넣고 삶아 옻닭을 만들어 1일 1회 1주일에 3회 정도, 1개월에 5~6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메밀 음식, 염소고기, 오리고기, 오징어를 금한다. 소양증이나 두드러기, 성병이 있는 사람, 그리고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달걀 1개, 당근 뿌리 15g, 마 덩이뿌리 5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갈아서 매일 아침 1개월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통째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꿀과 함께 1일 1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생식기(해구신)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번데기
통째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1일 2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뿔(녹용)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피 10~20㎖ 또는 살코기 적당량을 1회분 기준으로 피를 날것으로 1일 1회 5일 이상 복용하거나 고기를 끼니때마다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1일 1~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알 5~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날것으로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통째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1년에 4~5회 정도 3년 동안 복용한다. 5세 이전의 남자 어린이가 복용하면 평생 동안 양기부족 현상이 없다고 전해진다.
통째 2~3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삶은 다음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1주일 정도 먹는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암컷 1마리를 고기를 볶아 먹고 뼈는 고아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전체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속살 3~5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10~12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