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五勞)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23 건
23 건
뿌리줄기 3~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7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계피)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나 설사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말린 열매 20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이상 1개월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열매를 쪄서 장복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30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주일 이상 날것으로 먹는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양기가 강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5~6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나무속껍질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솔잎 생즙을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해도 좋다.
뿌리(당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율무쌀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이상 10일 정도 복용한다. 차로 만들어 복용해도 효험이 있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장복을 금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죽을 쑤어 1일 2~3회 10일 이상 먹는다. 담이 있거나 몽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버섯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20~30g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흑질백장(뱀)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전체 1마리를 2~3회분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