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질(痔疾)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63 건
163 건
[치핵]
열매 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치핵]
비늘줄기 몇 쪽에 상처를 내어 1회 1~2개씩 항문에 집어넣고 빠져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같은 요령으로 1일 2회 4~5일 정도 계속한다.
[치핵]
잎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치핵]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치핵]
잎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치핵]
온포기 말린 것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거즈에 적셔서 항문 안으로 밀어 넣는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치핵]
달걀기름(노른자위를 프라이팬에 담아 불에 올려놓고 달구면 갈색 기름이 흘러나온다)을 밀가루에 반죽하여 밤톨만하게 환을 지어 항문 속으로 밀어 넣고 20분 이상 될 수 있는 대로 오래 빠져나오지 않도록 둔다. 같은 요령으로 1주일 정도 계속한다.
온포기 4~7g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뿌리 또는 나무속껍질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를 달인 물로 치질 부위를 자주 씻는다.(치질로 인한 통증)
곶감을 검게 태운 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0~15일 정도 물과 함께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잎이나 열매(땡감) 또는 열매꼭지를 달인 물로 1일 3~4회 4~5일 정도 환부를 씻는다.
뿌리줄기 5g과 인동 덩굴 5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과다 복용하면 몸에 해롭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열매나 잎 또는 줄기를 달인 물로 1일 3~5회 4~6일 정도 환부를 씻는다.
덩이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신중히 사용한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 2g, 생지황 2g, 황벽나무 뿌리껍질 2g, 질경이 온포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갈퀴꼭두서니, 인삼, 숙주나물, 연근, 용담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4~6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3~4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4~5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4~5일 정도 계속한다.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5~6회 5~7일 정도 치질 부위에 바른다.
뿌리줄기와 모시대 뿌리를 달인 물을 1일 5~6회 3~4일 정도 환부에 바르면서, 수치질인 경우 환부를 실로 동여매어 두면 저절로 떨어진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2~1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하면서 생즙을 내어 환부에 자주 바른다. 담이 있거나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이나 뿌리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치질 부위에 자주 바른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10~15g을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치질 부위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물에 불려서 10회 이상 환부에 갈아붙인다.
온포기를 볶은 가루 4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따뜻한 물에 타서 차 마시듯 15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를 삶은 물 또는 담뱃진을 1일 2회 10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치질 부위에 자주 바른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이상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껍질을 벗긴 덩이뿌리를 잘라서 빠져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심한 경우 10회 정도 한다.
비늘줄기 15~20쪽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하면서 구운 마늘을 으깨어 5~6회 정도 빠져나오지 않게 환부에 밀어 넣는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2쪽을 으깨어 항문 안에 밀어 넣는다. 2~3회 정도 계속한다.(암치질)
비늘줄기 몇 쪽을 따뜻하게 구워서 거즈로 한 겹 싼 다음 1주일 정도 취침 전에 항문에 끼워 두었다가 아침에 뺀다.
온포기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뿌리 또는 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7~10일 정도 계속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거나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8~10g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2~3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8~10일 정도 계속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뿌리 또는 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1주일 정도 계속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4~5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꽃 또는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복용 중에 대황, 새삼, 패모, 하눌타리, 황금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그늘에서 말린 시래기를 진하게 달인 물로 5~6회 정도 탕욕을 한다.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하면서 꽃봉오리 말린 가루를 환부에 수시로 바른다.
잎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수시로 환부에 바른다.
잎 또는 어린 싹을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환부에 찜질을 한다.
뿌리줄기 0.7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경우에 따라서 정신 혼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수도 있다.
잎 또는 뿌리를 생즙을 내어 1일 3~4회 5~6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 7g과 감초 뿌리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냉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뿌리(찰벼)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15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삽주, 지네를 금한다. 씨나 꽃의 과다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를 진하게 달인 물을 1일 4회 이상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비늘줄기를 짓이겨서 환부에 붙여두고, 또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꽃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생잎을 짓이겨서 붙이거나 달인 물을 1일 5~6회 4~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덩이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씹어 삼키거나 진하게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1일 4~5회 이상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온포기를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서 1일 3회 이상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하면서 줄기를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서 1일 3~4회 3~5일 정도 환부에 갈아붙인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5~6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자주 환부에 바른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줄기를 검게 태워 가루를 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얇은 헝겊에 싸서 항문에 3~4회 정도 밀어 넣는다.(암치질)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4~5회 5일 이상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1일 4~5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5~6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5~7일 정도 계속한다.
뿌리(당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하면서 뿌리를 생으로 짓찧어 심한 경우 10회 정도 빠져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5~6회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3~4일 정도 계속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약쑥 1뭉치와 유황가루 20g 정도를 섞어서 불을 붙인 후 죽통을 이용하여 항문에 연기를 쏘인다. 심하면 같은 요령으로 4~5회 정도 계속한다.
온포기 삶은 물을 요강에 넣고 그 위에 앉아 뜨거운 김을 1회에 20분 이상 3~4회 정도 환부에 쪼인다.
온포기 20~30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복용하면서 그 물을 1일 3~5회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4~5일 정도 계속한다.
줄기 또는 꽃가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5~6회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4~5일 정도 계속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를 적당한 크기로 깎아서 1일 2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밀어 넣어주면 신효하다.
뿌리줄기 30~35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뿌리줄기를 달이거나 씨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3~4g과 산마 덩이뿌리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닦는다.
싹 5~8g 또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닦는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을 금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닦는다.
잎 또는 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씨 10개, 질경이 씨 10g, 겨자 껍질 10g, 감초 2g을 함께 달인 물을 1일 3~5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잎이나 뿌리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3~4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6~7일 정도 계속한다. 음기가 허약하거나 해수·천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4~5회 5일 이상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5회 이상 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잎 1g, 마름 씨 또는 줄기 20g, 율무쌀 1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3~5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5~7일 정도 계속한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백하수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바닷물고기, 쇠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1일 3~5회 정도 환부에 바른다. 같은 요령으로 5~6일 정도 계속한다.
덩이줄기를 생즙을 내어 1일 3~5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온포기를 태운 재를 참기름에 개어서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르고 헝겊으로 싸맨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씨를 가루 내어 20g과 당귀 가루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물에 타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를 짓찧어 1일 2회 4~5일 정도 빠져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복용 중에 모란, 생강, 쇠무릎, 패모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위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꼭지 3개와 율무쌀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통째(비단개구리) 3마리, 인삼 뿌리 3개, 참기름 1홉을 함께 고아서 그 물을 1일 3~4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쓸개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찬 음식을 금한다. 습비가 있거나 열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어린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어린 거위는 유독하므로 쓰지 않는다.
껍질 4~6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가루는 물에 개어서 5~6회 정도 환부에 바르고 헝겊으로 싸맨다.
쓸개(웅담)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김
김 5장을 1회분 기준으로 물에 불려서 10회 정도 환부에 갈아붙인다.
통째 2마리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껍질을 완전히 벗겨서 빠져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3~4회 정도 하면 특별한 효험이 있다.
달걀기름(노른자위를 프라이팬에 담아 불에 올려놓고 달구면 갈색 기름이 흘러나온다)을 1일 3~4회 5~6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수치질)
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15일 정도 복용한다. 간이 나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2~3마리를 산제로 하여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복용하고 소주 한잔으로 입가심한다. 같은 요령으로 1일 3~4회 정도 나머지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통째 1마리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2~3마리를 달여서 1일 1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증세가 심한 경우 기준량을 늘려 10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요리하여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15일 이상 먹는다. 복용 중에 쇠간, 꿩고기, 사슴고기, 산돼지고기, 형개를 금한다.
백반을 물 1.5배에 녹인 다음 1일 3~5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국을 끓여 1일 2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독성이 강해 일반인은 다루기 어려우므로 복어 전문 음식점에 가서 먹는 것이 좋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새우를 함께 10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통째(흑새우)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요리하여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10일 정도 먹는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고기를 얇게 썰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붙이고 헝겊으로 싸맨다.
통째 20개 정도를 구워서 말린 가루를 참기름에 개어서 1일 3회 5일 정도 빠져 나오지 않게 환부에 밀어 넣는다.
살코기 10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을 1일 1~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지네 진액(빈 병에 지네 4~5마리를 산 채로 넣고 밀봉한 후 섭씨 30도에서 3일 정도 두면 액체가 나온다)을 솜에 적셔 1일 2~3회 1주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통째 3마리 분량의 내장(껍질을 벗겨 속의 노랗고 까만 부분만을 골라낸다)에 벌꿀 1숟가락(10g)을 섞어서 1일 2~3회 4~5일 정도 환부에 바른다.
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홍시), 설탕을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식중독 경험이 있거나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5~6월에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열매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20~25일 복용한다.
뿌리 3~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 11~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8~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7~9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