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월경통(月經痛)

월경통(月經痛)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24 건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통증이 오는 즉시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나무껍질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옻을 타는 사람이나 몸에 외상이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통증이 오는 즉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금불초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심하면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나 산후 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나 산후 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가 있거나 산후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연한 싹 6~8g 또는 뿌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뿌리 또는 씨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붕루가 있거나 산후 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회 2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가 있거나 산후 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씨 0.1~0.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회 1~2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삶은 물만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홍시), 설탕을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5~6월에는 복용을 금한다.
뿔(녹각)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열매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전체 3~5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6~7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1~2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5~6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