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설(夢泄)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22 건
22 건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산마의 덩이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15~20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또는 싹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속껍질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백복령, 지네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4~6g 또는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열매껍질 5~8g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수염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열매(씨) 10~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꽃(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 잉어를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1일 2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