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위궤양(胃潰瘍)

위궤양(胃潰瘍)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58 건
나무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생즙 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g과 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잔가지 6~8g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진피)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잔가지나 뿌리 12~15g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35~4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만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방풍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g, 두릅뿌리 12g, 구기자나무 열매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찰벼)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겉보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삶으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열매 반개, 귤나무 열매 1/2개, 배추 온포기 100g, 설탕 20g을 함께 갈아서 주스를 만들어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사과 씨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제거하고 사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하지 않는다.
열매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복용해도 좋으나 황색물이 배는 것이 흠이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찌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생즙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3g과 산마 덩이뿌리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4g, 파 씨 10g, 물 2사발을 1사발이 되게 달여서 식후 1회 1숟갈씩 1사발을 다 복용한다.
싹 6~8g 또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잎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재배삼) 10~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공복에 꼭꼭 씹어서 1일 2회 15일 정도 장복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메주콩 10~15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회 1개월 정도 식후에 즉시 복용한다.
뿌리 또는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뼈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로열젤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시 찬물을 금한다.
벌꿀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삶은 물을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삶은 고기는 양념을 하여 반찬으로 먹는다. 두드러기가 잦거나 복랭증이나 알레르기, 위하수가 있는 사람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껍질 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볶아서 산제로 하여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껍질을 장작불에 올려놓고 흰색이 될 때까지 태운 후 가루를 내어 1.5~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3회 식후 30분 정도에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