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不眠症)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75 건
75 건
곶감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 또는 꽃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1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이나 잔가지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차로 만들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과 사과 큰 것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열매를 진하게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따뜻하게 데워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꿀에 타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5개를 삶거나 구워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먹는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무, 오이풀, 파를 금한다.
멧대추나무
씨 속알맹이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8~101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 현삼, 민물고기를 금한다. 간이 약하거나 담이 있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멧대추나무
열매 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 현삼, 민물고기를 금한다. 간이 약하거나 담이 있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10g과 인동 뿌리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덩이줄기 8g과 생강 3쪽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통째 8g과 백작약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1개와 달래 5~6뿌리를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사과 씨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제거하고 사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하지 않는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익은 열매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5회 이상 먹는다. 복용 중에 도라지, 백복령, 지네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해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삼(대마)
씨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결명차, 석결명을 금한다.
온포기 2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2~3회 정도 저녁에 복용한다.
온포기 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잎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새싹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쑥갓
온포기 2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2~3회 정도 저녁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날것으로 복용해도 좋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개를 갈아서 머리맡에 놓고 잠을 청한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물에 우려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차로 만들어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30g과 식초 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3g과 오미자 나무열매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용안
씨를 뺀 열매(용안육) 5g과 연꽃 열매살(연자육)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인삼) 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백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8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또는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그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숙지황) 10g과 구기자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잎 2g을 따뜻한 물에 타서 매일 아침에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취침 전 1회는 반드시 복용해야 좋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 잉어를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 파, 현삼, 민물고기를 금한다.
뿌리 3g, 대추 3g, 솔잎 2g, 영지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 파, 현삼, 민물고기를 금한다.
비늘줄기 5~6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속에 팥씨를 넣은 베개를 베고 자면 머리가 시원해지고 기분이 상쾌해지면 잠이 잘 온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늙은 호박)를 삶아서 많이 먹는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열매(늙은 호박)를 통째로 삶은 물을 1일 3~4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황련
뿌리줄기 3g과 백복령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오이풀, 진범, 자라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조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껍질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벌꿀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월척 크기)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회 4~10일 정도 취침 전에 복용한다.
피 10~20㎖를 1회분 기준으로 1주일에 2~3회씩 6~8일 정도 피를 받는 즉시 즉석에서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천일염 3~4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영사 0.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용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씨 6~7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뿌리 7~9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