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한발열(惡寒發熱)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1 건
11 건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닦는다.
열매 또는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를 금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열매 또는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복용을 금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전체 4~5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6~7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