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유정(遺精)

유정(遺精)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49 건
덜 익은 열매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부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6~8g 또는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땅비수리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4g과 생강 덩이줄기 말린 가루 3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볏짚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부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15~20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오배자(붉나무의 벌레혹)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서 말린 다음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또는 뿌리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를 빼고 말린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방기를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음기가 허하거나 양기가 강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5~6g 또는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열매껍질 6~8g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열증에 먹는 약을 금한다. 허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삶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 껍질, 현삼을 금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수염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10~12개 또는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씨 속알맹이를 굽거나 잔가지를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3~4년 된)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숙지황)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8g과 콩(검은콩)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바닷물고기, 쇠고기, 파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바닷물고기, 쇠고기, 파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2개와 부추 씨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2~3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씨앗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열매ㆍ꽃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호두알맹이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전체 5~6마리분을 1회분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7~8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2~1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