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행혈(行血)

행혈(行血)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227 건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 껍질, 현삼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잎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계피)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덩이뿌리를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치루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육식을 금한다.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6~7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5~30g을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나 잎 또는 뿌리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이상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 또는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금불초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진피)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중풍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어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이상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나 잎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4~6g을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단삼
뿌리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거나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나 산후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4~5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나 산후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잔가지 또는 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7일 정도 복용한다.
잎이나 줄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말오줌나무
잔가지 또는 열매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모과)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황, 새삼, 패모, 하눌타리, 황금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죽같이 고아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로 반찬을 만들거나 국을 끓여서 장복한다.
줄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7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2~3g 또는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는 1회분 분량이 30알 이상이면 치사량이 되므로 주의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5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7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껍질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가 있거나 산후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중풍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또는 암술머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입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를 뺀 열매 6g과 지황 뿌리(생지황)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무, 방기, 숙주나물, 연근, 용담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을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또는 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삼(대마)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결명차, 석결명을 금한다.
뿌리줄기(백출) 3g, 지황 뿌리(숙지황) 8g, 황기 뿌리 1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녹각, 백선, 복령, 살구 씨, 숙주나물, 여로, 용담,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위가 약하거나 위장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포자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5g을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 또는 나무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껍질, 현삼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8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또는 꽃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0.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켜 사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당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뿌리줄기를 죽같이 삶아서 복용해도 된다.
줄기 또는 꽃가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양파식초(비늘줄기 1개에 식초 150㎖를 부어 밀봉한 뒤 따뜻한 곳에 24시간 정도 두면 식초가 된다)를 소주잔 1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씨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고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 껍질, 현삼을 금한다.
온포기 6~8g 또는 뿌리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가 있거나 산후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율무가루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차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장복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7~8g 또는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폐에 열이 있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온포기). 대장이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씨).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꽃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잎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작약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5~6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6g과 아교 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8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또는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나무속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새싹 또는 햇줄기 25~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꽃 또는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온포기나 뿌리 또는 열매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뿌리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씨 2g, 감초 뿌리줄기 2g, 칡뿌리 2g, 지황 뿌리(생지황) 2g, 댕댕이덩굴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 무, 연근, 용담을 금한다.
뿌리 35~4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뿌리 3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싹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를 주스로 하여 10일 이상 장복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일 이상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버섯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겨우살이, 마늘, 무, 바닷물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꽃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붕루가 있거나 산후출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4~5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20g과 당귀 뿌리 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살코기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고기를 함께 1일 1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말려 가루를 내어 3~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5~7일 정도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누에 가루는 보관 중에 습기가 차면 독성이 생기므로 주의한다.
말린 누에 똥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누에 가루는 보관 중에 습기가 차면 독성이 생기므로 주의한다.
통째 1마리를 푹 고아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높은 나무에 매달아놓고 꼬리를 0.5cm 정도 자른 다음 떨어지는 피를 밀가루에 한 방울씩 받아 환으로 하여 7~8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요리하여 1일 1~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습진이나 종기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회로 먹을 경우 기생충(아나사키스)에 감염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돼지기름과 수수엿을 같은 비율로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꼬마리, 매실, 메기, 파두를 금한다. 만성신부전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요리를 해서 10일 이상 식사 때마다 반찬으로 먹는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삶은 물과 건더기를 함께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두드러기가 잦거나 복냉증이 있거나 알레르기가 있거나 위하수가 있거나 혈압이 낮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뿔(녹각)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6~8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고기를 함께 1일 1~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통째 1근, 된장 20g, 파 비늘줄기 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참나무 숯 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박쥐 똥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회로 먹거나 삶아서 요리하여 1일 1~2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통째 2마리를 달여서 고기와 국물을 함께 1일 1~2회 2~3일 안에 2마리 분량을 모두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온포기 2~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씨 6~7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속줄기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뿔 6~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0~12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