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糖尿病)
의 익생양술 단방주침법 처방목차
20 건
20 건
술담기 : 1) 약효는 덩이뿌리에 있다. 4~5월에 채취한다.
2) 덩이뿌리를 적당히 다듬은 다음 깨끗이 씻어 물기를 없애고 그대로 사용한다.
3) 덩이뿌리 26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7~8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고 약간 맵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0~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검정깨
술담기 : 1) 약효는 열매 검정깨에 있다. 9월에 채취한다.
2) 구입한 후 깨끗이 씻은 후에 솥에 넣고 쪄서 약간 말린 후에 쓴다.
3) 말린 검정깨 250g 정도를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3~4개월 숙성한 다음 걸러 두고 사용한다.
달고도 고소하다. 꿀을 100g정도 가미해도 좋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5~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오래 장복해도 몸에 이롭다.
계피
술담기 : 1) 계피나무 껍질에 약효가 있다. 방향성(芳香性)이다.
2) 깨끗하고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잘 골라 구입한 후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에 사용한다.
3) 마른계피 19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3~4개월 이상 숙성시킨 다음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다음 찌꺼기를 걸러버리고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고 맵고 시다. 설탕이나 곶감을 100g 정도 넣으면 좋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20일 이상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복용 중에 옻나무가 들어간 음식물을 금하며 임산부는 마시지 않는다.
2)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열매, 줄기, 뿌리에 약효가 있다. 뿌리는 껍질을 사용한다.
2) 열매 구기자는 약재상에서, 줄기나 뿌리는 농가에서 채취하여 쓴다.
3) 열매는 씻어 사용하고, 줄기나 뿌리는 적당한 크기로 다듬어 씻어서 사용한다.
4) 생열매, 생뿌리 230g 또는 건재 20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5) 3~6개월간 숙성시켜 사용한다. 18개월 정도 숙성한 다음 찌꺼기를 걸러버리고 보관사용한다.
맛은 달다. 설탕을 120g 정도 넣으면 맛이 부드러워진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20~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가리는 음식은 없다.
2) 너무 많은 양이나 오래 장복하는 것은 좋지 않다.
술담기 : 1) 약은 온포기에 있다. 8~9월(개화기)에 채취한다.
2) 온포기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3) 썰어 말린 온포기 26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7개월 정도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30~4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나 온포기에 있다. 가을에 채취한다.
2) 뿌리나 온포기를 채취하여 씻어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3) 대개는 뿌리를 쓰며 뿌리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보관 사용한다.
4) 6~7개월 정도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맵고 쓰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5~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온포기에 있다. 5월 개화기에 채취한다.
2)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3) 말린 뿌리 20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5~7개월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서늘하며 쓰고 맵다. 독성이 약간 있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0~2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열매(배)에 있다. 가을(열매성숙기)에 채취한다.
2) 깨끗이 씻은 다음 적당히 썰어 사용한다.
3) 씻어 썰은 약재 500g 정도를 소주 3.6ℓ에 붓고 밀봉한다.
4) 4~6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꿀을 100g 정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5~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생것을 많이 먹으면 속이 냉하여지므로 임산부는 피하도록 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에 있다. 방향성(芳香性)이다.
2) 11월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잘게 썰어 햇빛에 말린 다음 사용한다.
3) 말린 풀 175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8개월 정도 숙성시킨 후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래내고 보관사용한다.
맛은 쓰고 약간 맵다. 황설탕 100g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20~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무방하다. 3일에 1일 정도는 쉬어가며 복용한다.
2)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은 금한다. 또한 복용 중에는 고등어, 복숭아, 오얏, 참새고기를 금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 잎, 속껍질에 있다. 가을~이듬해 봄 사이 채취한다.
2) 주침에는 뿌리나 속껍질을 쓴다.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 사용한다.
3) 뿌리나 속껍질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뿌리와 속껍질 모두 7~8개월 숙성하여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개월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나 연한 새싹에 있다. 연중 어느 때나 채취한다.
2) 뿌리나 새싹을 구하여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 사용한다.
3) 말린 뿌리와 새싹을 반반씩 섞은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7~8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5~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장복해도 무방하다.
술담기 : 1) 약효는 비늘줄기(양파)에 있다. 여름에 채취한다.
2) 구입한 양파를 깨끗이 다듬어 썰어서 그대로 사용한다.
3) 썰은 양파 30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맵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5~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많이 장복해도 몸에 이롭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 줄기(근경)에 있다.
2)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사용하며 연중 채취 가능하다.
3) 생 뿌리줄기 20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10개월 숙성한 다음 사용하며 그대로 계속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사용할 시 1개월 전에 황설탕 50g을 가미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90~18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여러 날(20일 이상) 장복하여도 무방하다.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약효는 줄기나 익은 열매에 있다.
2) 줄기나 열매를 취하여 깨끗이 물로 씻어 말린 후 열매는 생으로 사용한다.
3) 말린 줄기는 200g, 익은 열매는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줄기는 8개월, 익은 열매는 4개월 이상 숙성한 다음 사용하며 줄기는 18개월, 열매는12개월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뿌리는 쓰고 열매는 달다. 열매에 황설탕 100g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90~18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
2) 임산부는 복용하지 않는다.
작약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에 있다.
2) 뿌리를 구입하여 깨끗이 물로 씻어 말린 다음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사용한다.
3) 말린 뿌리 18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8개월 이상 숙성한 후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고 시고 달다. 백설탕 100g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이 있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90~18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복용 중에 여로를, 취급 중에 철을 금한다.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줄기에 있다. 가을~이듬해 봄까지 채취한다.
2) 뿌리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3) 말린 뿌리 26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7~8개월 숙성하고 그대로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40일~2개월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장복해도 무방하다.
술담기 : 1) 소주 3.6ℓ에 생포도를 50대50 분량으로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채운다. 방향성(芳香性)이다.
2) 또는 생포도와 설탕을 50대50으로 채우고 병마개는 개폐하고 무거운 돌 같은 것으로 눌러 놓는다.
3) 설탕과 포도를 반반씩 섞어 담근 술은 밀폐시키면 그 속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용기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밀봉하지 않는다. 그 상태로 3개월 정도 숙성시킨 다음 냉암소에 보관한다.
4) 포도주는 오래 묵힐수록 좋다.
맛은 달다. 황설탕 200g을 가미할 수 있다. 여러 날 장복해도 무방하며 몸에 이롭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3~4회씩, 3~4개월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에 있다. 가을에 채취한다.
2) 구입한 뿌리를 껍질을 벗겨 말려서 사용한다.
3) 말린 뿌리 260g~30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8개월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독성은 없다. 녹각, 방풍, 복령, 백선, 살구씨, 여로, 목련, 현삼을 금한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개월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많이 들어도 무방하다.
흑쐐기풀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나 온포기에 있다. 7~8월(온포기), 가을(뿌리)에 채취한다.
2) 주침에는 뿌리를 쓰며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 사용한다.
3) 말린 뿌리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7~8개월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맵다. 독성이 있다.
소주잔 반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0~2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 시 기준을 지킨다.
술담기 : 1) 약효는 전체(全體)에 있다.
2) 산채로 깨끗이 물로 씻어 물기를 없앤 다음 사용한다(양파주머니를 사용하면 편리
3) 구렁이 1마리를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온도가 변하지 않은 곳에 4년 이상 묻어 두었다가 사용한다. 그대로 두고 사용 시에조금씩 따라 쓴다.
함).
맛은 달고 약간 흙내가 난다. 다른 당류를 가미하지 않는다.
주의사항 : 1) 복용 시에 빨대(스트로)를 이용하며 이에 닿지 않는 것이 좋다.
2)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