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中毒)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327 건
327 건
온포기 4~6g을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7g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열매꼭지 6개 또는 잎 5~6장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하면 몸에 해롭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개미자리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싹이 난 씨를 말려 가루를 내어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나무껍질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계피, 차조기를 금한다. 신체가 허약하거나 옻을 타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적하수오를 금한다. 눈병, 종기, 치질, 폐열, 혈변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측백나무를 금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열매껍질(진피) 8~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소금을 약간 넣어 간을 맞추어 복용해도 된다. 복랭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익은 열매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쇠무릎, 현삼을 금한다. 조갈증이 있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나 뿌리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잎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뿌리 4~6g 또는 열매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뿌리를 달이거나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씨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말린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4회 이상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꽃 4~5g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3~5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위암 환자 외에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10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10~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온포기 5~6g 또는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익은 열매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메밀쌀로 만든 음식을 매끼 2~3일 정도 먹는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가 장복하면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위가 약하거나 설사 증세가 있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 또는 뿌리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씨를 달이거나 생즙을 4~5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봉오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죽같이 고아서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또는 익은 열매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5~6회 정도 복용한다.
잎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0.3~0.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경우에 따라서 정신 혼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수도 있다.
잎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5~6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를 금한다.
열매를 굽거나 쪄서 1일 2~3회 4~5일 정도 양껏 먹는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땅콩, 황기를 금한다. 산후에 허약해졌거나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온그루 10~15g을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어린이는 익은 열매를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 9~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새싹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3g 또는 뿌리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는 1회분 분량이 30알 이상이면 치사량이 되므로 주의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5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꽃 또는 뿌리껍질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5~30g 또는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오배자(붉나무의 벌레혹)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비장이 약하거나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달이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잎 10g과 설탕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달이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뿌리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꽃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싹 또는 비늘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4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5~6일 정도 꼭꼭 씹어서 삼킨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숭아, 자두, 고등어,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열매(상수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잔가지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새싹이나 잔가지 또는 잎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5~6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열매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5~6회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구토증이 있거나 신경통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음기가 허약하거나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온포기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육식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켜 사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양파식초(비늘줄기 1개에 소주 2홉을 부어 밀봉한 뒤 따뜻한 곳에 24시간 정도 두면 식초가 된다)를 소주잔 1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4~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비늘줄기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여우구슬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35~4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푹 삶아서 죽같이 만들어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3~4g과 산마 덩이뿌리 5g을 섞어서 가루를 낸 다음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5~6회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4~5회 정도 복용한다.
싹 5~8g 또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과 닭을 넣고 삶아 옻닭을 만들어 1~2마리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계피, 차조기를 금한다. 신체가 허약하거나 옻을 타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덜 익은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5~6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잎 5~6g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잎을 달이거나 열매를 구워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7~8g 또는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폐에 열이 있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온포기). 대장이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씨).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말린 것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폐에 열이 있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온포기). 대장이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씨).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잎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재배삼) 15~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좁쌀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를 달인 물로 1일 5~6회 4~5일 정도 환부를 씻는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줄
햇싹 또는 햇줄기 25~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 잉어를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씨 25~30g 또는 참기름 15~20㎖를 1회분 기준으로 씨를 달이거나 참기름을 그대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꼭지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당뇨병이 있거나 복부팽만 증세가 있거나 비위가 허약하거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열매 또는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간장, 신장이 약하거나 정력이 부족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3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5~6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꽃 10~15g 또는 뿌리 35~45g을 1회분 기준으로 꽃을 달이거나 뿌리를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씨(검은콩)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메주콩)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을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백하수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바닷물고기, 쇠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햇순 또는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로 국을 끓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 또는 잔가지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버섯 날것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삶아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겨우살이, 마늘, 무, 바닷물고기, 파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조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열매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온그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대추, 생강, 오갈피, 황기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잎이나 줄기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건더기와 달인 물을 함께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이나 뿌리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쓸개(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쓸개(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3~5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삶은 물과 고기를 함께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냉병이 있거나 두드러기가 잦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벌꿀 4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익은 꿩고기를 5~6회 정도 양껏 복용한다.
통째 10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삶은 물과 고기를 함께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냉증이 있거나 두드러기가 잦거나 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동충하초
통째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말려서 0.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하게 지킨다.
통째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통째 3~4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하거나 몽유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말린 가루 1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하거나 몽유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땅벌
벌집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말벌
벌집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맛조개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삶은 물과 조갯살을 함께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전염병이 돈 뒤에는 복용을 금한다. 간이 나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허물을 구워서 산제로 하여 4~7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쓸개(야저담)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복용하거나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메기, 파두를 금한다.
쓸개(야저담)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메기, 파두를 금한다.
통째 150~250g(1~2마리 정도)을 1회분 기준으로 생태국을 끓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먹는다.
붕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국을 끓여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2마리 정도를 달여서 1일 1회 2~3일 정도 달인 물만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사향(사향노루의 사향샘을 말려 얻은 가루) 0.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과로가 심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영사 0.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뿔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하루 안에 모두 복용한다. 종기가 있거나 창독이 있는 사람은 장복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몸통 2~3g 또는 꼬리 0.4~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켜 사용한다.
통째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지렁이를 다룰 때는 그릇에 지렁이를 넣고 지렁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식초나 소주를 1숟가락 넣어 30분쯤 뒤에 뱃속의 똥이나 먹은 것을 다 게워내면 물로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삶은 물과 고기를 함께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홍시), 설탕을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식중독 경험이 있거나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5~6월에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2마리 정도를 달여서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뿔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두창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위에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황토
흙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속줄기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4~6일 복용한다.
호두알맹이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속살 250~30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7~8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맛살조개 100~15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7~8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7~8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