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불통(大便不通)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55 건
55 건
볶지 않은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장복을 금한다.
꽃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0.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줄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를 푹 삶아서 5~6회 정도 양껏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 인 것)을 금한다. 씨나 꽃의 과다 복용을 금한다.
꽃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 인 것)을 금한다. 씨나 꽃의 과다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칡, 황금, 황기, 조,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삼(대마)
씨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결명차, 석결명을 금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기준량을 초과하여 복용하지 않는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당귀) 8g과 물 200cc를 1회분 기준으로 반이 되도록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30g과 생강 덩이줄기 8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6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나 나무껍질 4~6g 또는 익은 열매 20~25g(2~4개)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먹어도 좋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열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뿌리껍질)
잎 또는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줄
햇싹 줄기 25~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잎 2~3g에 흑설탕 10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주일 정도 식후에 한 잔씩 복용한다.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죽같이 고아서 3~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꽃이나 씨 또는 뿌리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꽃이나 씨를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하거나 뿌리를 생즙을 내어 1일 3회 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뿌리 6g과 적하수오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파, 겨우살이, 쇠고기, 살구 씨를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비늘줄기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임신부는 낙태의 위험이 따르므로 삼간다.
잔가지 또는 열매 12~15g을 1회부 기준으로 달여서 3~5회 정도 복용한다.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3~4회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약재를 다룰 때에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덩이뿌리(적하수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겨우살이, 마늘, 무, 바닷물고기, 파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쓸개(야저담)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메기, 파두를 금한다.
씨 6~7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열매 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속줄기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4~6일 복용한다.
전체 200~25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