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신경통(神經痛)

신경통(神經痛)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26 건
온포기 또는 뿌리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껍질, 현삼을 금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열매꼭지 6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계피, 차조기를 금한다. 몸에 상처가 있거나 신체가 허약하거나 어혈·출혈이 있거나 옻을 타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온포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적하수오를 금한다.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적하수오를 금한다. 눈병, 종기, 치질, 폐열, 혈변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이상 장복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수액 150~200㎖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5회 이상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신중히 사용한다. 장복을 금한다.
말린 열매(붉은 고추) 10g과 감주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금불초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측백나무를 금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복용 중에 더운 물이나 더운 음식을 금한다.
덩이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나 나무껍질 또는 잔가지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 말고기, 쌀뜨물을 금한다.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15년 이상 된 나무)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땃두릅나무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가 장복하면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단무지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4~5g 또는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잎을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열매를 10일 정도 날로 먹는다.
나무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줄기 0.5~0.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경우에 따라서 정신 혼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수도 있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나무껍질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산수유를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산수유를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땅콩, 황기를 금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보리쌀로 밥을 하여 따뜻할 때 통증이 있는 곳에 고루 펴서 1일 2~3회 5~6일 정도 붙인다.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을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진하게 삶으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중풍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껍질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덩이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잔가지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금, 황련을 금한다.
덩이뿌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회 1주링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복용 중에 더운 음식을 금한다. 5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열매송이(솔방울)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송진 20g과 설탕 30g을 20일 정도 숙성시킨 후 소주잔 1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햇순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잔가지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잎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위장병이 있거나 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50g과 설탕 40g을 1개월간 숙성시킨 후 소주잔 한 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씨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연밥)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염주
뿌리줄기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장복을 삼간다.
덩이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더운 음식, 더운 물을 금한다. 열이 있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사용법을 엄격히 지킨다.
잔가지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율무쌀 25~30g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임신부는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뿌리 0.1~0.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완전히 식힌 다음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더운 음식, 더운 물을 금하고 더운 곳을 피한다. 열이 있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사용법을 엄격히 지킨다.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이나 씨 또는 뿌리 20~40g을 1회분 기준으로 꽃이나 씨를 달이거나, 뿌리를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덩이줄기를 생즙을 내어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생즙을 환부에 바른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3개, 생강 덩이줄기 2쪽, 밀가루 20g을 한께 강판에 갈아 반죽한 다음 1일 2회 4~5일 정도 환부에 갈아붙인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이상 날로 먹는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약재를 다룰 때에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덩이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1마리를 나무에 매달아 꼬리 끝을 0.5cm 정도 자른 후 떨어지는 피를 밀가루에 받아 환을 지어 7~8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달걀 노른자위 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7~19일 정도 아침 공복에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설탕
흑설탕 10g과 계란 흰자위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가재, 게를 금한다.
통째 3g, 두릅나무 뿌리 3g, 백복령 가루 3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를 금한다.(지네를 쓸 때는 머리와 다리를 제거하고 쓴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산제로 하여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복용하고 소주 1잔으로 입가심한다. 같은 요령으로 나머지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씨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2~3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5일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온포기 8~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2~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덩이뿌리 2~3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가지 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전체 1마리를 4~5회분으로 1일 2~3회 12~1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2~3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1마리를 5~6회분으로 1일 2~3회 12~1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단무지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2~1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