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식적창만(食積脹滿)

식적창만(食積脹滿)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7 건
싹이 난 씨를 말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적하수오를 금한다. 눈병, 종기, 치질, 폐열, 혈변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껍질(진피)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거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구리때를 금한다. 냉배 설사 증세가 있거나 열병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껍질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내에 3~4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씨 2~3g 또는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는 1회분 분량이 30알 이상이면 치사량이 되므로 주의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5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내에 2~3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또는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내에 3~4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을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구토증이 있거나 신경통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내에 2~3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기가 허약하거나 두통이 있거나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내에 3~4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