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허약체질(虛弱體質)

허약체질(虛弱體質)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31 건
덜 익은 열매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부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덩이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개월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줄기 8g과 인삼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잔가지나 뿌리 6~8g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3g, 질경이 온포기 2g, 새삼 뿌리 2g, 오미자나무 열매 1g, 복분자딸기 열매 1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줄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열매 또는 잎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개월 이상 장복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열매 15개와 감초 뿌리줄기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산마) 8~12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개월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위암 환자 외에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또는 꽃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개월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무, 오이풀, 파를 금한다.
꽃 8~10g 또는 뿌리줄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꽃을 달이거나 뿌리를 밥 뜸들일 때 넣고 쪄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50%, 쑥 온포기 20%, 둥굴레 뿌리줄기 20%, 엿기름 5% 비율로 함께 푹 고아서 적당량을 1회분 기준으로 장복한다.
씨 속알맹이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12~1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껍질 벗긴 열매(생밤)를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계속하여 양껏 복용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냉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을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백복령)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덜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달여서 약간의 설탕을 타서 1일 2~3회 1개월 이상 장복해도 좋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1주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가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꿀에 버무려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무, 오이풀, 파를 금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비늘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당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씨 70~8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죽같이 고거나 날것으로 갈아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개월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3~4g과 마 덩이뿌리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차로 하여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또는 씨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용안
씨를 뺀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율무쌀 60%, 쌀 40% 비율로 죽을 쑤어 적당량을 1회분 기준으로 10일 이상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산삼)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1~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장뇌삼)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1~2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7g과 녹용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0g과 영계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함께 고아서 3~5마리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속알맹이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쌀을 적당히 넣고 죽을 쑤어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먹는다. 담이 있거나 몽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30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씨(검은깨)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기름 15~20㎖ 또는 씨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참기름을 그대로 쓰거나 씨를 삶아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또는 소주 1/2잔과 같은 양의 참기름을 섞어서 복용해도 좋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개월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파래)를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씨(검은콩) 10홉, 현미 10홉, 보리쌀 10홉, 참깨(검은깨) 10홉을 볶은 후 가루를 내어 흑설탕 300g과 함께 섞은 다음 1일 3회 60일 정도 계속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꽃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또는 꽃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4~5g 또는 열매 50~6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버섯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비늘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15~25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그 물과 함께 1일 1~2회 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나무껍질 25~30g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통째 5~6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1마리를 푹 고아서 기름을 걷어 내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1주일에 1회, 1개월에 4~5마리 정도 1개월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찬 음식을 금한다. 습비가 있거나 열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어린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어린 거위는 유독하므로 쓰지 않는다.
살코기 80~100g 또는 쓸개(웅담)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살코기 10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볶거나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1개월 동안 3~5회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로열젤리 가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감기 기운이나 열이 있을 때는 복용을 금한다.
벌꿀 200g과 인삼 뿌리 가루 400g을 한 용기에 넣고 섞어서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개월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통째 10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삶은 물과 고기를 10일 이상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함께 복용한다. 간을 먹으면 피부가 벗겨지므로 제거하고 쓴다.
통째 4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산제로 하여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복용하고 소주 1잔으로 입가심한다. 같은 요령으로 1일 2~3회 나머지를 모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동충하초
통째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거나 요리를 해서 10일 이상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간, 꿩고기, 사슴고기, 산돼지고기, 형개를 금한다.
생식기(해구신) 3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0회 정도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0회 이상 복용한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복국을 끓여서 1일 1회 1주일 정도 계속 복용한다. 독성이 강해 일반인은 다루기 어려우므로 복어 전문 음식점에 가서 먹는 것이 좋다.
통째(5년 이상 된 것으로 오래 묵은 것이 좋다) 푹 고아서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5회 이상 양껏 복용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고아 양념을 해서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1주일 2회 1개월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일 1회 1주일 정도 3~4마리를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살코기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0일 이상 끼니때마다 먹는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뿔(녹용)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뿔(녹각)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우유 100~150㎖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개월 이상 장복한다. 복용 중에 진범을 금한다.
쇠고기 150g과 대추나무 열매 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20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주일 2회 1개월 정도 계속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통째 2~3마리를 약탕으로 하여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3~4마리를 달여서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차조기를 금한다.
통째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4~5회 정도 적당히 나누어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을 금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이나 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5회 이상 복용한다.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요리를 하거나 회로 10일 이상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식사와 함께 먹는다.
통째 구이를 하여 장복한다.
통째 2~3마리를 달여서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조갯살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고기는 볶아 먹고 뼈는 고아서 복용한다. 1년에 봄가을로 2회 정도 복용하면 좋다. 뼈를 고아서 복용할 때 보신용 한약재를 넣으면 더욱 효험이 있다.
온포기 5~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열매ㆍ꽃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7~9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줄기 15~2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호두알맹이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전체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5~2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1마리를 5~6회분으로 1일 2~3회 12~1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